“자출족 3년 하니 직원 넷 중 한 명이 따라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박완수(54·사진) 창원시장은 아침마다 토월동 집에서 시청까지 2㎞를 ‘누비자’로 출근한다. 15분 걸린다. 비 오는 날을 빼고 2007년 2월 20일부터 계속해 왔다. 행사 참석이 많은 퇴근 시간에는 어쩔 수 없이 차를 이용한다.

그는 2007년 1월 일본의 한 자치단체 방문 때 자동차 출근 금지로 공무원들이 대중교통과 자전거를 이용하거나 걸어서 출근하는 모습을 보고 ‘무릎을 쳤다’고 한다. 창원을 ‘대한민국의 환경 수도’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추진한 직후였다.

귀국 뒤 시청 공무원의 자동차 출근을 금지했다. 자신은 자전거로 출근했다. 처음엔 “박 시장이 쇼한다” “며칠 가겠느냐”며 믿지 않는 분위기였다. 박 시장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전거를 직접 타면서 관련 정책을 밀어붙였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근로자에게 월 3만원의 수당을 지급하고, 공영자전거 누비자를 개통시켰다.

2년이 흐른 지금 그의 행동은 자전거에 대한 시민 인식을 바꿔놓았다. 넥타이를 매고 양복을 입은 채 자전거를 타는 그를 보고 자전거 이용자가 하나 둘 늘어나고 있다. 창원시에는 가구당 0.79대로 모두 13만8000대의 자전거가 있다. 보유율은 27%로 전국 평균 16.6%를 훨씬 웃돈다. 시 직원(1500명)의 24%가 ‘자출족(자전거 출퇴근족)’이다.

박 시장은 “2012년까지 누비자 대수를 5000대로 늘리면 하루 1만5000명이 이용하면서 자전거 교통 분담률이 5~6%에서 10%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자전거전용도로 등을 만드는 데 많은 예산이 든다. 자전거정책이 성공하려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로교통법 등 법이나 제도가 차량이 아닌 자전거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위험하다고 하소연하는 시민을 위해 1년간 쫓아다니며 자전거 보험 제도를 도입한 걸 예로 들었다. ‘자전거 매니어’가 된 그는 자전거의 중요성을 이렇게 역설했다. “자전거는 이제 생활수단을 넘어 지구온난화, 에너지 고갈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인류 생존 최후의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창원=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