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신항만 사업 의의 및 건설 규모… 세계 3대 거점항만 될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낙동강 하구인 부산 가덕도와 진해시용원 앞바다사이에 'ㄷ' 자를 거꾸로 돌려 놓은 모양으로 만들어질 1단계 신항만 (넓이 1백55만평) 은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 (3만3천8백여평) 의 거의 46배크기. 잠실 축구경기장 (잔디구장) 6백50개를 합한 것과 맞먹는 규모다.

2단계 (1백11만평) 는 진해시죽곡동과 남산사이 앞바다에 들어선다.

사업비는 5조5천억원 (96년도 불변가격 기준) . 신항만에 필요한 배후도시.시설 건설비를 합치면 무려 10조원이상이나 되는 거대한 사업이다.

1, 2단계 공사가 모두 끝나면 홍콩.싱가포르에 이어 세계 3대 거점항만으로 떠오르게 된다.

◇ 컨테이너 부두 = 1단계 부두는 길이 3천5백m에 대형 컨테이너선 10척을 동시에 댈 수 있는 규모. 컨테이너 5천3백2개 (길이 20피트짜리 기준) 를 실을 수 있는 길이 2백79m의 컨테이너선 10척을 댈 수 있는 크기다.

잠실 축구경기장 (잔디구장) 길이가 1백5m인 점을 생각하면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컨테이너 처리능력은 1백90여만개. 자동차 부두는 연간 30만대를 실어낼 수 있는 규모로 만들어진다.

2단계는 부두 길이 4천3백m에 대형 컨테이너선 14척이 동시에 댈 수 있는 크기. 컨테이너 연간 처리량은 2백70여만개.

◇ 배후시설.도시 = 진입도로 (6.7㎞) 와 진입철도 (3.13㎞).소형선 부두등을 만든다.

그리고 부산가덕도와 진해시웅동에는 주거단지와 공원등을 만든다.

가덕도 주거단지는 부산시가 눌차만 지역 1백60여만평을 주거.상업도시로 개발, 부산서부권의 중심도시로 만들 계획. 진해시도 안골단지 (21만여평)에 상업.주거지역을, 웅동단지 (1백95만평)에 신항만 배후 상업.주거시설과 녹산공단 배후산업단지를 개발할 계획. 또 가덕도와 거제를 잇는 가덕대교와 도로도 새로 세우거나 닦는다.

◇ 지역경제 파급효과〓신항만 공사가 본격화돼 우선 공사비와 인건비가 시중에 풀리면 돈 가뭄에 시달리는 부산지역 경제에 단비가 돼 70년대말부터 시작된 신발.섬유산업 쇠퇴이후 침체된 지역경제가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에 부풀어 있다.

올해부터 사업이 끝날 2011년까지 15년동안 항만.도로.배후도시등을 만드는데 쏟아부을 돈은 자그만치 10조원규모로 한해 평균 6천7백억원규모의 공사판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돼 먼저 90년대이후 잇딴 부도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가 활기를 되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한해 평균 공사비는 지난해 부산지역 총생산액 (21조원) 의 3%나 되는 액수. 건설현장에 필요한 인력도 하루 8천여명 (연간 3백여만명) 이나 돼 부산지역의 실업률도 크게 낮춰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항만 완공이후 얻어지는 효과는 더 클 전망. 우선 연간 5만t급 컨테이너선 3천척이상의 입항이 가능해 벌어들일 수 있는 항만수입이 1조2천억원이나 된다.

이같은 액수는 올 부산시 예산 (3조5천억원규모) 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 또 연간 4백만개이상의 컨테이너 환적화물도 처리할 수 있게 돼 이에 따른 수익금이 3천2백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적화물의 경우 컨테이너 1개의 수익 (2백달러) 이 자동차 한대를 수출할때 얻어지는 순수익보다 많아 부가가치가 높은 기간산업.

◇ 도시개발〓해양수산부는 부산신항만 완공후 지금의 부산항 (북항) 항만기능을 대부분 신항만으로 옮기는 '부산항 기능재정비계획' 을 마련해 놓고 있다.

부산시는 이같은 방침에 따라 지금의 북항 일반부두와 일부 공간을 경부고속전철 기.종점이 될 부산역의 '역세권 개발계획' 에 포함시켜 무역.업무.레저등 도시 고유의 기능을 살릴 수 있도록 할 계획. 이렇게 되면 북항 곳곳에 흩어져 있는 수출.입 화물창고가 헐리고 그 자리에는 업무.상업시설을 비롯해 바닷가에 쉽게 접근해 물도 만지고 파도소리를 들을 수 있는 해안공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게다가 컨테이너 수송트럭의 도심통행이 줄어들면 도심 교통체증 해소는 물론 대기오염도 줄어 부산이 쾌적한 도시로 탈바꿈하면서 주거환경이 크게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이밖에도 신항만 건설을 계기로 항만관리권을 중앙정부로부터 넘겨 받고 해양수산부등 해운항만 관련 중추기능을 부산으로 옮겨 오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 = 허상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