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스 성장 막기 ‘물량 공세’ … 성장률 1.5%P↑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28조9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끄는 이명박 정부 2기 경제팀의 승부수다. 지금까지의 추경 기록(1998년 13조9000억원)을 단숨에 깬 사상 최대 규모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右)이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윤진식 경제수석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기지개를 켜고 있다. [오종택 기자]


올해 우리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만은 막기 위해 물량 공세를 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추경으로 성장률을 1.5%포인트 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규제 완화와 민간 투자 확대 효과까지 감안하면 성장률을 2%포인트 정도까지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윤증현 장관이 지난달 취임 당시 예상했던 올해 경제성장률은 -2% 였다. 추경과 규제 완화가 제대로만 먹히면 마이너스 성장은 피할 수 있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황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 떨어뜨렸다. 윤 장관이 -2% 성장을 예상했던 지난달만 해도 세계 경제성장 전망치가 0.5%였는데, 최근 IMF는 -0.5~-1%로 낮췄다. 대외 의존형인 우리 경제로선 어려움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성장률 급락에 제동을 거는 효과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지표 자체는 일시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자리 추경’이란 이름처럼 이번 추경은 일자리를 만들고 지키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공공근로 일자리 40만 개 등 정부가 직접 만드는 일자리만 55만 개(연간 28만 개)에 달하고, 일자리 나누기(잡셰어링) 지원을 받는 일자리가 22만 개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추산한다. 수출·중소기업 지원을 통해 4만~7만 개의 일자리를 간접적으로 만들어 내는 효과도 있다.

이는 2월 말 공식 실업자만 100만 명에 육박하는 고용 시장의 ‘일자리 가뭄’ 해갈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추경으로 만드는 일자리 대부분이 4~8개월짜리 단기·임시직이라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급한 대로 경제위기가 지나갈 때까지 취약 계층이 쓰러지지 않도록 나랏돈으로 지원하는 그 이상의 의미를 두기는 어렵다.

재정에는 상당한 부담이 생겼다. 정부는 빚을 더 내기로 했다. 적자 국채를 17조2000억원 추가 발행할 계획이다. 국가 부채는 366조9000억원으로 증가한다. 통계청이 추계한 올해 전체 인구(4876만6000명)로 나눠 보면 1인당 753만원꼴의 빚을 지는 셈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채무 비중은 38.5%에 달하게 된다. 각종 재정지표는 외환위기 때보다 나빠진다. 재정(사회보장성 기금을 뺀 관리 대상 수지)적자는 GDP의 5.4%인 51조6000억원에 달해 1999년(5.1%)보다 더 커진다.

윤 장관은 2차 추경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문은 언제나 열려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렇게 돈을 쏟아붓고도 경기 흐름을 바꿔놓지 못한다면 또 다시 빚을 내 대규모 추경을 하기란 쉽지 않다.

당장 이번 추경만 해도 민주당은 세수 결손분 11조원에 대해 빚을 내지 말고 감세를 연기해 메워야 한다고 벼르고 있다. 국회 문턱을 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상렬·최현철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