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燕京大 설립한 미국인, 추방 60년 만에 항저우에 묻히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05호 38면

1929년 6월 15일 옌징(燕京)대 졸업생인 여류 작가 빙신(빙 心)과 사회학자 우원짜오(吳文藻)의 결혼식에 혼증인으로 참석한 쓰투레이덩(뒷줄 한가운데). 김명호 제공

쓰투레이덩(司徒雷登·1876∼1962)은 미국인 존 레이턴 스튜어트(John Leighton Stuart)의 중국 이름이다. 미국인 선교사의 아들로 항저우(杭州)에서 태어났다. 중국 친구들과 골목에서 뒹굴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유모도 중국인이었다. 순수한 미국인이었지만 할 줄 아는 말이라곤 항저우 방언밖에 없었다. 11세에 미국에 있는 학교에 진학했을 때 영어를 못 했다. 비라도 내리는 날이면 시쯔(西子) 호반의 연 잎에 떨어지던 빗방울 소리가 그리워 얼 빠진 표정을 짓곤 했다. 괴물 취급을 받았다.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104>

1904년 28세 때 선교사가 돼 부인과 함께 항저우로 돌아왔다. 부친이 사목 활동을 하던 톈수이탕(天水堂)의 담임목사로 부임했다. “고향에 오니 숨통이 트이고 살 것 같다”는 편지를 친구에게 보냈다. 1908년 난징에 신학원이 설립되자 교육자로 변신했다. 한때는 AP통신의 특약기자로 활동했다. 쑨원이 위안스카이에게 총통직 양위를 발표할 때 현장에 있었던 유일한 외국 기자였다.

1918년 미국 기독교연합회는 베이징에 옌징(燕京)대를 설립했다. 교장 후보자들을 물색했다. 유사시에 중국 편을 들 소지가 많다는 이유로 쓰투는 후보자에 오르지도 못했다.

그러나 타임지의 설립자 헨리 루스의 부친이 “난관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다. 외국인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중국인의 묘한 심리를 꿰뚫어볼 줄 안다. 중국의 지식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라며 쓰투를 적극 추천했다. 쓰투는 난징을 떠나고 싶어 하지 않았다. 친구들도 만류했지만 이듬해 1월 교장직을 수락했다. “중국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양국 간에 충돌이 발생했을 때 쓸모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일기를 남겼다.

쓰투는 부임한 날부터 두통에 시달렸다. 중국인 교수 두 명에 학생은 100명이 채 안 됐고 외국인 교수들은 한결같이 자격 미달이었다. 교실 5개에 기숙사 3개 동(棟), 주방·욕실·도서관·교직원 사무실이 한 칸씩 있었다. 테니스장과 농구장도 있었지만 돈은 한 푼도 없었다. 친구들을 찾아 다니며 모금을 시작했다. 거리에서 구걸하는 걸인들을 볼 때마다 “저들에게 배워야 한다”며 그들의 집요함에 감탄했다. 기부금이 조금씩 쌓이기 시작했다.

쓰투레이덩은 새로운 학교 부지를 알아보기 위해 당나귀를 타고 베이징 교외를 돌아다녔다. 위안밍위안(圓明園)의 정남쪽에 호수를 낀 노는 땅이 있었다. 명(明)말 서화가이며 괴석 수집가였던 미완중(米萬鍾)의 별장 댜오위안( 園)이 있던 곳이었다. 산시(陝西) 독군(督軍) 천수판(陳樹藩)의 부친이 부인들과 노년을 보내기 위해 구입한 사유지였다.

모금한 돈 30만원을 들고 시안(西安)에 내려가 천을 만났다. 아들과 함께 온 쓰투의 설명을 듣던 천의 부친은 벌떡 일어나 자리를 떴다. 그날 밤 아들을 호되게 꾸짖었다. “만나지 말았어야 했다. 중국인을 교육시키기 위해 대학을 짓겠다는 외국인에게 돈을 받고 땅을 팔면 그 학교는 중국인 학교가 아니다. 그냥 줘라. 너 때문에 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쓰투는 장쉐량의 소유였던 웨이슈위안(蔚秀園) 등도 매입해 교지를 확보했다. 미국에서 설계사를 초빙해 중국식 궁전을 본뜬 건물 66동을 지었다. 지금의 베이징대다. 하버드의 옌징 학사도 쓰투가 설립했다. 쓰투는 국민당이 패망할 때 주중 미국 대사였다. 공산화된 후에도 중국을 떠나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쫓겨났다. 상징적인 추방이었다. 지난해 11월 그의 유골이 항저우로 돌아왔다. 중국은 쫓겨난 사람이 다시 오는 것을 허락하기까지 60년이 걸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