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확산되는 물 부족 피해 … 범정부적 대책 시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겨울 가뭄으로 인한 식수 부족 현상이 심각한 국면을 띠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6일 현재 전국 790개 마을에서 17만여 명의 주민이 제한 급수로 고통 받고 있다. 강원 남부 지역은 한강 발원지인 태백 검룡소까지 말라붙는 극심한 물 기근으로 운반 급수를 통해 겨우 식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비 소식이 요원하자 전북 진안군 용담댐 인근 주민들은 기우제까지 지냈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자연 재앙까지 겹친 해당 지역 주민들은 그야말로 하늘만 쳐다보는 딱한 처지에 몰려 있다.

물론 이번 피해의 직접적 원인은 가뭄이다. 해당 지역엔 지난해 여름 이후 해갈에 필요한 비다운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한 예로 태백 지역은 지난해 7월 이후 강수량(600㎜)이 평년의 60%에 그쳤다. 올해도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될 때까지 가뭄이 계속될 것이라고 하니 더욱 우려된다. 그러나 사태가 이 지경에까지 온 것은 종합적인 치수 대책을 세우지 않은 정부 탓도 크다. 물 부족 우려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닌데도, 전국적인 물 수급 대책은 여전히 실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정부는 급한 불부터 꺼야 한다. 지자체 간에 물싸움까지 벌어지고 있는 판에 먼 산 쳐다보듯이 대처해선 안 된다. 특히 식수는 별도 예산을 편성해서라도 시급히 대처해야 한다. 생수와 페트병 수돗물 공급을 늘리고, 급수차·급수선을 최대한 투입하라.

장기적 차원에선 물 수급을 조절할 소규모 댐과 저수지를 신설하거나 확장해야 한다. 또 급수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낡은 수도관을 개량해 수돗물이 새 나가는 것만 막아도 물 부족 사태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지하 빗물 저장 시설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해안·도서지역의 경우엔 해수 담수화 시설 설치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이 지정한 물 부족 국가다. 도시 지역도 상수도 시설이 잘 갖춰졌다고 물을 흥청망청 쓰다간 언젠가 물난리의 당사자가 될 것이다. 농어촌 지역의 고통을 나누고, 어려운 국가경제 회복에 일조한다는 의미에서 물을 아껴 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