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도 예산 100억 절감 … 일자리 만드는 데 쓰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경기도 하남시가 예산 100억원을 절감해 일자리를 만드는 데 쓰기로 했다. 절감액 100억원은 26일 현재 전국 232개 기초자치단체 중 최대 규모다. 특히 개인에게 주는 일당과 소상공인에 지원하는 보조금 중 일부를 현금 대신 하남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카드(기프트 카드)로 지급해 고용 창출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꾀한다.

김황식 하남시장은 26일 “행사성 경비를 절약하는 방법 등으로 100억원을 마련해 일자리 창출에 투입하겠다”며 “올해 시 예산 2400억원에서 절감이 불가능한 예산을 제외한 가용예산 400억원 중 25%에 해당하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시는 행사성 경비 4억원, 경상경비 6억원, 공무원 경비 7억원, 사업별 우선순위 재조정을 통한 83억원으로 재원을 만들기로 했다. 이 돈은 공공부문의 일자리 사업과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각각 50억원씩 들어간다.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에는 직장이 없는 만 18~65세의 하남시민은 누구나 일자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불법광고물 수거, 청소 와 같은 일자리를 만들어 하루 3만2000원의 일당을 지급한다. 하루 460여 명씩 연 고용인원이 11만 명에 달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공무원 노조는 반발=행정안전부는 5급 이상 소속 공무원의 보수 일부를 자율적으로 반납하도록 하고, 이 재원으로 결식아동·독거노인 등 소외계층을 지원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실장급은 연봉의 3~5%, 국장급은 2~4%, 과장급은 1~3%를 반납한다. 대상자는 모두 1000여 명으로 반납 금액은 월평균 5600만원 정도다. 보건복지가족부도 이번 달부터 실장은 월급의 5%, 국장은 3%, 과장급은 2% 내의 금액을 기부하도록 해 소외계층 지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서울시도 직원들의 봉급 일부를 기부받고 여기에 업무추진비와 경상경비를 절약해 100억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한다. 이 돈은 청년 일자리 1000여 개를 창출하는 데 쓰인다. 인천시도 5급 이상 직원 550명 임금의 1~5%를 떼내 매월 3500만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전국공무원노조는 성명을 내고 “정부가 자율 반납이란 명목으로 일방적이고 반강제적으로 임금을 삭감할 경우 모든 수단을 강구해 총력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진·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