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과시민대토론회>10. 김대중 총재 - 질문 쏟아진 내각제 개헌 (3)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金大中)총재는 자민련과의 후보단일화 선행조건으로 거론되는 내각제 개헌문제에 관해 집중 질문을 받았다.

내각제를 집권의 방편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과 집권후 내각제 개헌일정,내각제 협상의 대상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자민련과의 연대가 결국 여권의 3당합당과 같은 야합(野合)이란 비판도 가해졌다.

金총재는 이를'여야간 정권교체론'으로 맞받아쳤다.“내각제 논쟁보다 더욱 중요한 문제는 정권교체를 이루는 일이며 이를 위해선 차선책이지만 내각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논리를 폈다.

“내각제와 대통령제는 모두 민주주의 제도로,어느 것을 취하느냐는 차이가 있을 뿐이지만 비민주적인 장기집권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쪽을 선택하든 문제될게 없다”며 예봉을 피해갔다.

그러면서“신한국당과는 내각제(연대)를 안한다”고 못박았다.이는 내각제란 이름으로 장기집권을 합리화해주는 일이기 때문이란 이유를 달았다.

그는“자민련과 연합하는 것은 통합이 아니라 연합이다.합당하자는게 아니고 각당의 기본원칙.철학을 지키면서 집권에 공동참여,연립정권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밝혀 3당합당한 신한국당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金총재는 일본의 예를 들어 이같이 설명했다가 패널리스트로부터 일본 정당의 경우는 정당통합이지 연합하고는 성격이 다르다는 반론을 받기도 했다.

그는 개헌시기에 대해선“전당대회후 후보단일화 추진.내각제 수용.개헌시기등을 일괄타결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金총재는 내각제 협상의 상대로 김종필(金鍾泌)자민련총재외에 박태준(朴泰俊)전포철회장을 새로이 거론,'DJT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