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보복발언 이후 對北감시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의 보복 발언 이후 북한군 움직임에 정보당국의 촉각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한.미연합체제로 운영되는 대북 정보수집 방법은 공중정찰과 통신감청등 크게 두가지.
지상 2백~5백㎞ 상공에서 지상 상황을 샅샅이 촬영하는 KH-9,KH-11등 정찰위성은 하루에도 몇차례씩 북한 영공을 통과하면서 북한 군의 동향과 잠수함 기지등을 감시한다.지상의 자동차 번호판을 식별할 정도다.
또 휴전선 상공에서는 U-2R,OV-1D,RF-4등의 항공정찰기가 전방의 북한군 동태를 감시한다.오산 기지에 배치돼 있는U-2R는 매일 한차례 이상 24㎞ 고공에서 휴전선 북쪽 40~1백㎞ 후방을 훑는다.OV-1D 정찰기는 휴전 선을 따라 비행하면서 북쪽 40㎞ 까지 체크한다.
이밖에 오키나와(沖繩)미군기지에 배치돼 있는 공중조기경보기 E-2C,E-3C와 공중조기경보 관제기 AWACS도 한반도 상공에 출동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또 통신 감청을 위해서는 RV-1D,RC-12H등 통신정보 수집 항공기를 띄운다.전방 지역의 높은 산이나 섬에 설치된 통신 감청소도 큰 역할을 한다.북한군의 무선 교신등을 가로채면 가장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북한은 감청을 막기위해 음어를 사용토록 하지만 현재의 한.미 정보분석력은 짧은 시간내에이를 해독해낼 수 있다.
국방부는 이같은 정보 수집 방법을 총동원하면 북한군의 전면 남침 조짐을 적어도 12시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를 총동원하기 위해서는 한.미 양국군 정보당국간 합의에 따라 워치콘(WATCH CONDITION)을 격상해야 한다.이같은 정보수집 방법이 모두 미군 장비이기 때문이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