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적 平和정착 토대마련 기대-14일 역사적 보스니아總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보스니아에 항구적인 평화정착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역사적 총선이 오는 14일 보스니아-헤르체코비나 전역에서 치러진다.
이번 총선은 지난해 12월 미국의 압력과 주도아래 데이턴에서체결된 평화협정에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총선이 보스니아에 완전한 평화를 정착시키지는못하겠지만 보스니아내 회교-크로아티아계와 세르비아계 사이의 권력분할체제를 제도적으로 창출,평화정착의 기초를 닦을 것은 틀림없다고 말한다.
선거를 사흘 앞둔 현재 보스니아에선 팽팽한 긴장속에 폭력을 수반한 정파간 마찰이 산발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29개나 되는 정당이 총선참여를 선언하고 막바지 선거운동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집회.결사및 언론의 자유가 여전히 제한돼 공명선거를 기약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현지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강경 민족주의자들과 전범(戰犯)들이 선거판을 장악한 채 반대파들의 선거운동을 방해하며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
칼 빌트 보스니아 문제담당 유엔특사는 『이번 총선을 통해 대립되는 파벌들이 권력공유및 분할을 확실하게 획정지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엔 이 지역의 평화정착은 요원하게 될 것』이라고밝혔다. 14일 선거가 성공적으로 치러지게 되면 보스니아에는영토의 51%에 대한 주권을 갖는 회교-크로아티아 연방과 49%를 통제하는 세르비아계 스르프스카공화국등 두개의 정치적 실체가 합법적으로 등장한다.
두개의 정치적 실체는 독자적인 대통령과 의회,법률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독립국가나 마찬가지다.
물론 중앙정부도 구성된다.중앙정부는 3인의 대통령회의와 상원(15명).하원(42명)을 두게된다.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외교적 상징성을 갖고 각 민족간 분쟁을 조정하는 상설협의체 정도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를 현실적으로통제하는 한편 보스니아 평화를 항구화하기 위해선 선거이후에도 미군을 포함한 평화이행군(IFOR)의 잔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있다.
베를린=한경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