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앙일보 대학평가] 교수 연구 부문 … 과학기술 논문 늘었지만 질은 제자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과학기술 분야 연구에서 학교별 논문 피인용 숫자와 전 세계 대학에서 차지하는 순위다. 논문의 피인용 수는 논문의 품질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동료 연구자에 의해 논문이 얼마나 이용되는지를 나타내 주기 때문이다. 인용의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논문 한 편이 몇 번 인용되었는지 그 횟수를 헤아리는 것이다. 1998년 이후 10년간 전 세계 대학의 논문 편당 피인용수를 비교해 보면 하버드대 27.03회(3위), 캘리포니아 공대(CALTECH) 23.66회(5위), 스탠퍼드대 22.73회(7위), 예일대 22.59회(9위), MIT 22.39회(10위)를 기록하는 등 미국 대학들이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우수한 논문이 나오면 다른 논문에 많이 인용된다. 대학이 국가의 연구 개발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국내 대학의 논문 편당 피인용수는 연구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그런데 한국의 대학은 피인용 횟수나 순위에서 많이 뒤떨어져 있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할 때 SCI(과학논문인용색인)에 수록된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 논문 수가 세계 12위(2만5494건)인 것에 비춰볼 때 논문의 질이 양적인 성장을 따라가지 못하는 형국이다.


논문이 얼마나 인용되는지를 가늠하기 위해 앞서 말한 대로 단순히 인용 횟수를 세는 것 외에도 인용비율(percent cited)을 따지기도 한다. 인용비율은 발표된 논문 중 한 번이라도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논문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한다.

앞으로 대학의 연구 수준을 평가할 때는 논문의 양을 측정하기보다 피인용 횟수 등 논문의 품질을 평가하는 쪽으로 옮겨 가야 한다.

POSTECH 학술정보처· 중앙일보 대학평가팀 공동 기획

▶[중앙일보 대학평가] 교수 연구 부문 보기

어떻게 평가했나

 교수연구 부문에선 올해 처음으로 과학기술 교수당 국내 눈문 게재 지표(5점)를 제외했다. 국내 논문보다 해외 저널이 중시되는 과학기술 계열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 대신 임팩트 팩터(영향력 지수, 5점)를 반영했다.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다.

◆교수연구부문 가중치(120점)=▶계열 평균 교수당 외부지원 연구비(15) ▶계열 평균 교수당 자체 연구비(10) ▶인문사회 교수당 국내 논문 게재 수(15) ▶인문사회체육 교수당 SSCI, A&HCI 게재 수(20) ▶과학기술 교수당 SCI 게재 수(20) ▶과학기술 교수당 SCI 논문 임팩트 팩터(5) ▶최근 5년간 교수당 SCI, SSCI, A&HCI 피인용 수(10) ▶최근 5년간 SCI, SSCI, A&HCI 의 10회 이상 논문 수(5) ▶지적재산권 등록 현황(10) ▶기술이전 수입액(10)

◆지표 기준=▶국내·해외 논문, 지적재산권은 2007년 기준 ▶국내·해외 논문 게재 수 및 인용 빈도는 주저자와 공저자에게 가중치를 차등 반영함. 주저자는 2/(전체 저자 수+1), 공저자는 1/(전체 저자 수+1)

<2008년 중앙일보 대학평가팀>

▶종합평가=강홍준 기자(팀장), 김경진·이에스더 기자
▶생명공학(공학·자연계열 )=선승혜 기자
▶ 생명공학(농학계열) =최익재 기자
▶경영전문대학원(MBA)=박수련 기자 대표 e-메일 : univ@joongang.co.kr

[J-HOT]

조업하던 中 어선 백령도 인근서 피격

서울대, 10년 독주 고대 1점차 꺾고 '평판도 첫 1위'

전진 "아버지가 8억 날리고…어머니가 셋"

달랑 18일 일하고 158억원 번 '60대 남자'

李대통령, 러시아 대통령과 알고보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