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박씨 제지지점 펜스 너머 1200m → 800m”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피살 당한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는 당초 북한이 밝혔던 것과는 달리 군사통제구역 내부로 800m를 들어갔다가 북한군 초병의 제지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방북을 마치고 돌아온 윤만준 현대아산 사장은 북측으로부터 이 같은 설명을 들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북한이 당초 설명과 다르게 사건 경위를 밝힌 것이라 ‘말바꾸기’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또 박씨 사망 시간을 최초엔 11일 오전 5시쯤으로 알렸다가 민간인 식별 가능성 논란이 제기되자 오전 4시50분으로 10분을 앞당긴 뒤 이어진 두 번째 바뀐 설명이라 의혹은 계속되고 있다.

윤 사장 일행이 통일부에 보고한 북측의 사건 경위 설명에 따르면 박씨는 펜스를 넘어 군사통제구역으로 들어간 뒤 제지를 받고 도주하다 펜스 200m 앞에서 사망했다. 당초 북측은 박씨가 펜스를 넘어 1200m 떨어진 기생바위 인근에까지 접근했다고 주장했다. 박씨가 숙소였던 금강산 관광지구 내 비치호텔을 출발한 시간도 CCTV에 나왔던 11일 오전 4시30분에서 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CCTV의 시계가 정확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윤 사장 일행이 이번 방북 기간 중 비치호텔에서 펜스까지 실제로 걸어보니 14분 가량이 소요됐다. 이 경우 박씨는 오전 4시30분 숙소를 나와 4시44분께 펜스에 도착한 게 된다. 그런데 최초 북측의 설명대로라면 박씨는 4시44분 이후 사망시간인 4시 50분까지 6분간 2200m를 이동했다는 게 돼 시속 20㎞ 이상으로 뛰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당시 북측 설명대로라면 박씨는 펜스를 넘어 1200m 가까이 들어갔다가 초병의 제지를 받고 도주한 뒤 펜스 200m 앞에서 피격당했기 때문이다. 이봉주 선수가 마라톤 한국 최고 기록(2시간7분20초)을 세울 때가 평균 시속 19.9㎞였던 만큼 치마를 입은 53세의 박씨가 이봉주 선수만큼 뛰었다는 얘기가 된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은 이날 저녁 서울 남북회담본부에서 윤 사장을 만나 사건 경위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의혹 해소가 이뤄지지 않았다. 내용이 없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6자회담이 진전되고 북핵 문제가 해결되는 국면에서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라고 반문해 이 사건이 국제 이슈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채병건·권호 기자

[J-Hot 정치]

美 의회도서관 '독도' 주제어 폐기 검토 보류

독도 분쟁 악순환 막으려면 '되로 받고 말로 줘야'

"盧정부 '언론인 성향 분석' 숨기려 서버 들고갔나"

"언론인 '우호·중립·비판' 성향 분석해 관리했다"

싱가포르 국부 만난 박근혜 '각별한 인연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