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황금시장 잡아라" PCS사업권 쟁탈전 치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올상반기중 예정된 통신서비스 신규사업자 지정에서 최대의 관심이 쏠리고있는 개인휴대통신(PCS)사업권은 어디로 돌아갈까.이를 놓고 대기업들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면서 각 업체의 사업계획서 작성방향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기술에 관한 한 국내 최고를 자부하는 삼성은 사업계획서 구체성에 역점을 두는「현실파」다.이 그룹은 PCS사업추진에 핵심인기지국용 부지선정등 현실성 있는 계획수립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기술에 자신감을 갖고 있기는 LG그룹도 마찬가지다.여기다 LG는「청정파」그룹 이미지를 강조,깨끗한 기업임을 강조키로 했다.현대는 삼성.LG에 비해 정보통신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후발주자라는 여론을 의식,무선분야는 국내 기업간 기술차이 가 없다는「오십보 백보론」을 주장할 계획.
시외.국제전화사업에 진출해있는 데이콤은 국내 통신시장에서「연고권」을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이동통신서비스의 꽃이랄수 있는 저궤도위성(LEO)을 강조하는「위성파」도 있다.금호그룹은 지상에 설치된 PCS장비와 우주공간에 발사된 위성(S.새틀라이트)을 동시에 이용,전세계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게하겠다는「PCSS전략」을 세웠 다.
효성은「다양성」을 강조할 예정.이 그룹은 국내표준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을 근간으로 지금까지 추진해온 일본식 PCS인 PHS망운영기술을 접목,다양한 기술방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이민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