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Fountain

Victim of history

중앙일보

입력

탁경현

“잠시 묵상에 잠겨 있던 미쓰야마가 갑자기 큰 목소리로 노래를 시작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쥐어짜듯 비통한 목소리였다. 도메와 두 딸도 따라 부르기 시작했지만 이내 노래는 사라지고 오열이 방 안을 메웠다. 어느새 네 사람은 어깨동무를 하고 있었다.”

1945년 5월 10일 밤, 일본 가고시마현 지란 비행기지 인근의 식당 도미야에서 있었던 실화를 묘사한 논픽션 『반딧불 돌아오다』(아카바네 레이코 지음, 2001년)의 한 대목이다. 미쓰야마는 이튿날이면 불귀의 객이 될 가미카제 특공대원이었고, 도메는 그가 유일하게 정을 붙였던 단골식당의 주인 아주머니였다. 다음 날 아침 미쓰야마는 예정대로 250㎏의 폭탄을 전투기에 싣고 출격했고, 560㎞를 날아가 오키나와 해상에서 25년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대일본제국 육군소위’ 미쓰야마 후미히로(光山文博)의 본명은 탁경현(卓庚鉉)이었다. 지란 비행장에서 일왕이 내린 술 한 잔에 일기일함(一機一艦)의 결의를 다지고 목숨을 버린 자살특공대는 모두 1036명이었다. 그 속엔 탁경현을 포함한 조선인 11명도 들어 있다. 탁경현은 견습사관 시절부터 조선인임을 밝혔다고 한다. 그의 혼은 야스쿠니 신사에 모셔져 이따금 일본 총리의 참배를 받기도 한다. 비행모를 착용한 그의 사진도 신사 한쪽의 유슈칸(遊就館)에 걸려 있다.

지난달 탁경현의 기일에 맞춰 그의 고향인 경남 사천에 위령비를 세우려던 일본인들이 있었다. 그들은 위령비 건립이 한·일 간 화해를 위한 작은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믿었던 듯하다. 탁경현을 모델로 한 영화 ‘호타루’(다카쿠라 겐 주연)에서처럼 말이다. 영화에서는 가미카제 특공대에서 조선인 소위의 부하였던 일본인 생존자가 상관의 유품을 안고 한국을 찾고, 처음엔 완강히 거부하던 유족들이 유품을 받아들임으로써 화해가 이뤄졌다.

하지만 현실의 결말은 정반대였다. 주민들과 관련 단체들의 반대 시위에 부닥쳐 행사는 취소되고 위령비는 철거됐다. 고향에서조차 탁경현은 일제 협력자일 뿐이었다. 한·일 간의 진정한 화해는 아직 때가 무르익지 않았음을 이번 사건은 일러준다. 그 전에 선행되어야 할 진심어린 사죄와 용서의 씻김굿이 아직 완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원했건, 마지못해 끌려갔건 탁경현 또한 역사의 희생양임에 틀림없다. 죽음을 하루 앞둔 불면의 밤에 조국을 그리며 아리랑을 불렀던 그가 이튿날 ‘천황폐하 만세’를 부르고 죽음의 항로로 돌진해야 했던 건 분명 비극이다. 질곡과 광기의 역사 앞에서 무릇 인간의 운명은 왜소하고 나약한 법이다. 탁경현의 덧없는 죽음은 그래서 연민의 대상으로 다가온다.

예영준 정치부문 차장

Victim of history

“Mitsuyama, silent for a while, started singing, ‘Arirang, arirang, arariyo, arirang gogaero neomeoganda.’ The voice was full of bitterness. The restaurant owner and her two daughters started singing along together, but soon the song disappeared, leaving the room empty with lament. They put their arms around each other.”

This is an excerpt from “The Firefly Returns,” a book written by Reiko Akabane based on the true story of a night at Tomiya restaurant near Jiran air base in Kagoshima on May 10, 1945.

Mitsuyama was a regular patron of the restaurant. He was also a kamikaze pilot who would die the following day. He took off as scheduled the next day, carrying 250 kilograms of bombs in his jet, ending his short 25-year life in seas near Okinawa.

A lieutenant of the Japanese Empire, Fumihiro Mitsuyama’s Korean name was Tak Kyong-hyong. In all there were 1,036 kamikaze suicide commandos. Among them were 11 Koreans, including Tak. His soul now rests within the controversial Yasukuni Shrine, where a picture of him in his flying helmet is displayed.

Last month, on the anniversary of Tak Kyong-hyong’s passing, several Japanese tried to build a monument in his honor in his hometown of Sacheon, South Gyeongsang. They must have thought that the memorial would be a small step toward the reconciliation of Korea and Japan, just like in the movie “Hotaru,” based on the Tak story. In the movie, a Japanese survivor who was a subordinate of the Korean lieutenant in the Kamikaze corps visits Korea with a keepsake that belonged to his senior officer. An emotional reconciliation is made as the family who at first strongly refused to accept the keepsake finally accepts it in the end. However, in reality, the result was the complete opposite. In Sacheon, the residents were opposed to the monument and civic groups held demonstrations. The ceremony was eventually cancelled and the monument removed.

Even in his hometown, Tak is regarded only as a collaborator with Japan, showing that Korea is still not ready for true reconciliation with its former colonial oppressor. This is because the sincere apology that should precede forgiveness has not been given.

Tak, whether he volunteered or was forced to join, was another victim of history. It is a true tragedy that the man who sang “Arirang” on the night before he died, missing his homeland, had to fly his death shouting, “Long live the emperor.” Before the madness of history, a human being’s fate is small and weak. That is why Tak’s transient death is truly pitiful.

*The writer is a deputy political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eh Young-june [yyjune@joongang.co.kr]

▶ [JoongAng Daily] U.S. beef rallies reach new heights
▶ [JoongAng Daily] 100 days in, Lee faces 78% disapproval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