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박 낳는 ‘대통령 통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엄청나죠. 하루에 1457억원이라니. 6개월간 5000억원이 목표였는데….”

노희성 기업은행 기업금융부장은 놀란 입을 다물지 못했다. 중소기업인의 날인 13일 이명박 대통령이 1호로 가입한 이 은행의 ‘중소기업희망통장’은 시판 첫날인 14일에만 611계좌에 1457억원을 끌어모았다. 예종석 한양대 경영대학장은 “이 대통령이 먼저 통장을 만들자 이게 어려운 중소기업을 돕자는 분위기로 이어졌다”며 “효과적인 감성 마케팅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4월 기업은행의 ‘우수기업 채용박람회’에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자 노 부장은 박람회 결과 보고서를 청와대에 제출하면서 송종호 중소기업수석비서관에게 중소기업희망통장의 취지를 설명했다. 통장에 쌓인 돈을 6%라는 낮은 금리로 혁신형 중소기업을 돕는 재원으로 쓴다는 것이었다. 이를 송 수석이 대통령에게 보고하자 대통령의 ‘1호 가입’이 이뤄졌다. 시판 이후 삼성·GS·포스코 등 대기업은 물론 개인 예치액도 100억원을 넘어섰다. 현병택 기업은행 부행장은 “반응이 워낙 좋아 연내 목표를 1조5000억원으로 높였다”고 말했다.

금융상품 마케팅에서 대통령은 대박을 부르는 ‘큰손’이다. 특히 공익성 상품의 경우 그렇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4년 2월 기업은행의 녹색환경신탁에 가입했다. 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에 이어 94년 낙동강에서 벤젠과 톨루엔 등이 검출돼 온 국민이 ‘식수 패닉’에 빠진 직후였다. 이 상품은 운용 수익의 1%를 환경기부금으로 공제하는 동시에 그 두 배를 은행이 부담해 기부하도록 설계됐다.

같은 해 4월 대통령 부인 손명순 여사도 대구은행의 ‘낙동강 사랑신탁’에 가입했다. 낙동강에 초점을 둔 신탁으로 이만섭 당시 국회의장 등 저명인사들도 잇따라 가입했다. 이 상품은 출시 후 6개월 만에 718억원을 모았다. 이용한 대구은행 부부장은 “당시 기부금 총액만 4억원이 넘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고 말했다. 특판 상품인데도 98년까지 ‘장수’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98년 옛 한일은행의 ‘IMF 경제회생수출지원통장’에 가입했다. 당시 대한상공회의소 등이 벌인 ‘IMF 경제위기 조기 극복 3000만 저축운동’을 계기로 나온 ‘IMF 통장’은 외환위기로 고통 받는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재원 마련이 목적이었다.

98년 4~9월 한시 판매된 이 상품엔 2조6000억원의 돈이 몰렸다. 김기림 우리은행 홍보실 부부장은 “6개월 만에 2조6000억원을 달성한 것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달성하기 힘든 기록”이라며 “당시 경제위기 상황과 함께 대통령의 가입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이희호 여사도 98년 5월 신한은행의 ‘나라 살리는 통장’에 가입했다. 45개 여성단체가 주관하는 ‘나라 살리는 통장 갖기 범국민 운동’의 일환으로 개설된 이 통장은 가족 1인당 1만원 이상 2년간 가입하는 정기예금이다.

세후 이자의 1%를 은행 부담으로 실업자·불우이웃 돕기 기금으로 출연하도록 한 이 통장은 출시 3개월 만에 500억원을 돌파했다.

이현택 기자

[J-HOT]

▶ MB에 돌아선 민심도 '이게 다 노무현 때문?'

▶ 낙선 국회의원들 "남이 알까 모자 눌러 쓰고 운전학원 등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