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오존경보 후속조치는 뭔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22일 서울 북서.북동지역을 대상으로 처음 발령된 오존주의보는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실감케 해주고 있다.지난 70년대초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오존농도의 상승으로 수십명이 사망한 바 있는데 이번 오존주의보는 그러한 일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님을 일러준다.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것은 처음이지만 그것은 지난 1일부터 오존경보제가 실시되었기 때문일 뿐 대도시의 오존농도가 위험수준을넘은 적은 과거에도 여러번 있었다.서울의 경우 지난해만 해도 지역에 따라 3~12일간,시간상으로는 6~25시 간동안 오존농도가 주의보 기준치를 넘은 적이 있었다.특히 지난해 8월 광화문지역에선 한때 오존농도가 주의보수준도 넘어 경보수준을 나타내기도 했다.
환경부와 서울시는 먼저 전문가들을 동원해 북서.북동지역의 오존농도가 왜 높아졌는지를 다각적으로 정밀분석해야 한다.그래야 앞으로 같은 상황이 벌어질 경우 적절한 후속조치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주의보.경보.중대경보의 단계별로 정해져 있는 후속조치를 민방위날을 통해 실제로 해보아야 한다.경우에 따라선강제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언론기관에 알려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구하는 것으론 충분하지 않다.학교.관공서등 한 지역에만수천개에 달하는 기관에 발령사실과 후속조치를 알리는 일이 제도가 마련됐다고 저절로 되는 것은 아니다.연습이 절대 필요하다.
무질서하고 갈팡질팡했던 삼풍사고때의 구조체계만 보아도 그 필요성이 절감된다.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유사시에 차량통제,시민의 활동억제등이 즉각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체제를 갖춰둬야 한다.
아울러 근본대책의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오존농도상승의 주원인이 자동차 배기가스에 있는 만큼 차량운행제한,저공해용 유류생산,자동차 배기허용기준 상향조정,매연차량 단속강화 등의 대책을 마련해 문제해결에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미국의 경우 91년부터 90년 수준보다 유류의 유해물질배출량을 15% 줄이게 했고 9개 도시에선 여름철엔 저공해 휘발유만 판매케 하고 있다.
주의보 발령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실효성있는 후속조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