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 (78) 서울 강동갑 한나라당 김충환씨

중앙일보

입력

“열린우리당은 길어야 4년, 짧으면 1년짜리 단명한 정당이 될 겁니다. 이번 선거가 끝나면 민주당과의 재통합 문제가 대두할 거고, 관권선거 논란, 대통령 측근 비리 문제 등으로 시끄러워 질 겁니다.”

서울 강동갑에서 여의도 입성에 도전하는 김충환(50) 전 강동구청장은 “레임덕 기간 1년을 빼면 총선 후유증을 극복하고 노무현 정부가 일할 수 있는 기간이 2년에 불과한데, 소수 정당으로 힘 있는 정부를 꾸리기 어려운 만큼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긴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치권을 물갈이 하고, 지방분권특별법을 만들어 지방자치를 활성화한 것 등 잘하는 것도 있죠. 문제는 민주당 분당, 야당 출신 자치단체장 빼 가기, 언론과의 갈등 등으로 국론을 분열시키고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겁니다. 동맹국과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들고 정계 개편에 국가 에너지를 지나치게 낭비한 건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김 전 구청장은 행정고시 출신이다. 9년간 그가 민선 구청장으로 일하는 동안 강동구는 네 차례 최우수 자치단체로 뽑혔다. 서울대 정치학과를 나온 행정학 박사(서울시립대 대학원 도시행정학과)로 중앙 정부(정무장관실 국회 담당관), 서울시 정부(서울시 올림픽준비단 기획담당관, 서울시장 비서관), 국회(정책연구위원), 정당(민주당 원내 기획실장), 올림픽조직위(등록과장) 등에서도 일했다. 그는 “나이도 많지도, 적지도 않은 50살로 국회의원을 하기에 가장 적당한 때”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간판으로 출마 준비 중인 그는 이 당에서 열린우리당으로 옮긴 이부영 의원을 가장 유력한 경쟁자로 지목했다.

“정치인으로서는 신인이지만 당적을 옮기지 않고 한나라당을 잘 지킬 사람입니다. 이 의원과 비교해 이밖에도 더 젊고, 25년 공직에 몸담은 정책 전문가이며, 3기에 걸쳐 민선 구청장을 해 유권자들과 친밀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 김충환 전 강동구청장은 지금 가장 소중한 게 뭐냐고 묻자 “9년 동안 책임졌던 강동구민의 안전과 행복”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아내와 세 딸이 가장 소중하다”고 귀띔했다. 사진=지미연 월간중앙 기자

그는 정치는 대학 시절의 전공으로 훌륭한 정치가가 되기 위해 행정학 박사 학위도 받고, 국회와 정당에서 경력을 쌓았다고 말했다.

“대학 때부터 민주주의를 뿌리 내리고 민족의 문화를 잘 가꿔야 좋은 나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바탕 위에서 평화적 통일을 이루고, 복지국가를 건설해야죠. 진정 국민이 행복한 나라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국민 복지를 국가가 책임지는, 그런 나라입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한 출발점에 지금 서 있구요.”

그는 이를 위한 모색으로 국민복지실천위원회를 만들어 국회 차원의 국민복지 향상 방안을 마련해 보고 싶다고 털어 놓았다. 정치 개혁의 주요 과제로는 ▶당내 민주주의 실현 ▶돈 안 드는 선거 정착 ▶국회 표결 내용 공개와 자유투표제 도입 ▶원내 활동 평가와 공개 등을 열거했다.

“의원들이 국회에서 한 표결 내용을 공개해 이들이 양심과 양식을 바탕으로 의정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펼친 활동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공개하는 제도도 필요하구요. 이번에 등원하면 이를 위해 뜻 맞는 의원들과 연구회도 만들고, 이런 구상을 당과 국회의 입법기구를 통해 법제화해 나갈 생각입니다.”

공천을 둘러싼 한나라당의 불협화음과 관련해선 “전체 정치권 차원에서도 개혁과 안정이 균형을 이뤄야 하듯 당의 공천도 개혁과 안정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며 “그런 대로 잘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역구인 강동갑의 화급한 현안으로는 고덕지구의 재건축을 적시했다. 그는 “서울시로부터 안전 진단과 주민들이 바라는 지구단위계획을 승인 받는 것이 관건이며 등원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자신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들은 이미 선진국 수준인데 정치인들은 여전히 후진국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국민은 정치 실험의 대상이 아닙니다. 오직 유권자들의 바른 선택만이 이 갭을 좁히고, 혼란을 막을 수 있어요. 정치 신인으로서 깨끗한 정치, 새 정치의 전범을 만들어 보이겠습니다. 자치단체장 출신으로 지방분권을 확고히 해 지방자치가 튼튼히 뿌리를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김경혜 월간중앙 정치개혁포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