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박근혜 의원 기자회견 [일문일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나라당 박근혜 의원은 2억원대의 자금을 수수한 단서를 검찰이 포착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합당 조건으로 받은건 한푼도 없다"고 말했다. 박의원은 25일 오전 국회에서 있은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다만 유세지원 활동비로 2억원을 당에서 받은 사실은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朴의원이 기자회견중 검찰수사와 관련 밝힌 자신의 입장이다.

합당 조건으로 받은 건 한푼도 없다. 이회창 전 총재가 나를 만나자고, 한나라당에서 같이 일하자고 했다. 나는 "정치개혁을 하다 안돼서 당을 떠났고, 범정치개혁국민위원회를 만들어 거기서 선거문화를 바꿀수 있는 안을 만들어 각당이 받아들여 정치개혁을 했으면 좋겠다. 약속해 주겠느냐"고 했고, 흔쾌히 받아들였다. 그리고 남북문제를 정책적으로 접근하는 문제 등 여러 문제를 약속 받았다.

또 복당이 아닌 당대당이라는 형식을 약속받았다. 그때 나도 당사를 구하기 어려워 집도 담보로 잡히고 사무실도 얻고 했지만 지금도 담보를 잡힌채 그대로 있다.

그 때 미래연합 지구당 위원장도 여럿 있었는데 기득권을 요구하는 것은 잘못이고, 일체의 기득권을 요구하지 말자고 해 받아들여졌다.

지난 2002년 11월25일 선대위 공동의장으로 임명됐고 26일 김영일 당시 사무총장으로부터 열심히 뛰어달라며 활동비로 1억원을 받았다. 그리고 27일에 따로 개별적으로 유세팀이 돼 충청권, 강원권을 후보와 따로 다녔다. 그때 총장으로부터 1억원을 받았다. 2억원 받은게 전부다.

그런데 검찰은 공식적으로 받은 돈까지 큰 비리인 것처럼 발표한다. 그러면 선대위가 한나라당만 있었는가. 각당 선대위 당직자들의 선거활동자금도 조사해야 형평성에 맞지 않느냐. 대선자금도 '7백 대 0'으로 만들었는데. 당직자들 쓴 자금도 '몇백 대 0'으로 만들 것인가. 검찰이 해온 모든 조사가 의도된 것 아니냐고 의심할수 밖에 없다. 대통령도 중립을 지키도록 하겠다는데 이러면 검찰을 정치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 밖에 안되는 것이다. 각당 선대위 선거활동 자금도 모두 조사해야 한다. 한나라당만 이렇게 하면 검찰 수사는 모두 의도를 갖고 했다는 것을 검찰이 스스로 인정한 것 밖에 안된다. 모든 자금을 수사해야 한다.

-검찰이 소환을 통보할텐데.

"하라는대로 하겠다".

-일반적으로 합병하면 자산, 부채도 인수하는데 합당시 그런 얘기는 없었나.

"그런 것으로 한푼이라도 돈 받은 것은 없었다. 합병 당시 직원이 많았는데 직원 2명을 한나라당에서 받았다. 그리고 한 사람은 자리가 없었다. 그때 빚지고 지금까지 있었다".

-미래 연합 창당시 부채는 얼마였나

"집을 담보로 4억5천만원의 빚을 얻었고 그대로 있었다".

-수표로 받았을때 쪼개고 집행하는 것은.

"사무직원이 받아 처리했다. 그 때 선거자금 운영비로 쓰라고 영수증 필요없다 해서 그런 상황이었다".

-영수증 처리 안하면 불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는가.

"당이 그랬고, 중앙당에서 그랬다. 그렇게 보고 받았다".

-박의원을 새 대표로 거론하는데 거취 결정에 영향을 끼치나.

"그렇게 분석하는 분들이 많은가. 지금 이런 과정이 정식으로 받은 선거운영자금까지 한나라당만 찍어서 하는 것은 정말로 의도라고 본다".

-본인 결정에 영향을 안 미치나.

"내가 떳떳한데 무슨 영향을 끼치겠는가".

-2억원이 다인가.

"다이다".

-대표로 나갈 의향은.

"생각 중이다. 어떤 자리로 가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당이 기로에 서있고 위기에 처해 있는데 한나라당이 남아야 건전한 야당으로 역할을 하는 거고, 한나라당 노선을 지지하는 국민들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나라와 연관이 되는 문제라고 생각될 때 어떻게 하는 것이 당과 나라를 위해 제대로 하는 건지 생각 중이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