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코너>북한학과 학부개설 늘고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北-美 핵협상 타결이후 南北경제협력및 민간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적 북한사회 연구.
연구자가 매우 부족한 상태에서 몇몇 대학에 북한학과가 개설되고있다.금년 봄 동국대가 북한학과를 개설,신입생을 뽑은데 이어 명지대도 문교부로부터 야간학과 개설허가를 받아 신입생을 모집할예정이고 숭실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도 북한학과 개설을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냉전체제 붕괴,7.7선언등으로 통일의 가능성이 현실로 다가옴에 따라 국내에서도 몇몇 대학의 특수대학원이 북한관련 강좌를 개설한 바 있다.
서강대가 90년3월 공공정책대학원에 북한학과를 개설해 이미 20여명의 석사를 배출했으며 91년9월 경남대가 행정대학원에 북한학과를 개설했다.
현재 북한관련 강의가 가장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숭실대는92년3월 통일정책과학대학원 안에 통일정책학과.경제정책학과.사회복지정책학과.교육문화정책학과를 두고 학과별로 10명 정도의 학생을 뽑고 있다.
이들 특수대학원은 성격상 학생의 과반수가 북한 관련 실무자거나 직업상 북한에 대한 지식.정보가 필요한 군.안기부.통일원등북한관련업무 종사자들이다.
거기에다 평일 저녁 주당 두세번 강의를 듣거나 토요일에 한번강의를 듣는 것이 고작이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사실상 어려워 북한관련 전문연구자를 양성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뿐만 아니라 이들 대학원은 북한 관련 전공교수가 거의 없는 상태여서 정치학.경제학과 교수 혹은 대학 밖의 북한관련 실무종사자들에게 강의를 의존하고 있다.
이들 대학원에서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인사로는 이홍구(李洪九)통일부총리,양호민(梁好民)『한국논단』대표,강인덕(康仁德)극동문제연구소장,김남식(金南植)평화연구원 연구위원,오관치(吳寬治)국방연구원 부원장 등을 꼽을 수 있다.
대학에서 북한관련 연구로 정식 학위과정을 마치고 강의하고 있는 소장학자로는 민족통일연구원의 몇몇 연구원들을 비롯해 이종석세종연구소연구원,정해구 고려대강사 정도가 고작이다.
이들도 주로 북한정치.경제나 통일문제에 분야가 집중돼 있어 사회.역사.문화.인류학 등 통일 이후를 대비해 관심을 가져야할분야에서는 전공자를 찾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다.
동국대 북한학과의 경우 현재 교수 1명에 정치학 기초과목과 북한정치관련 과목들이 주로 개설돼 있을 뿐 사회.문화.사상.인류학관련 과목이나 북한 및 남북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동북아지역 관련 과목은 전혀 없다.이에 대해 숭실대 통일정책과학대학원장 김광수교수는 학과개설 신청때 학과명을『「북한학과」보다 지역연구로서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동북아학과」로 신청하는 것도고려해 볼만 하다』고 말한다.그러나 학부과정에 북한학과를 실용적 필요에 따라 개설할 경우 과거「 국민윤리학과」의 경우처럼 북한전문 연구자를 길러내기보다 오히려 통일에 역기능적인 이해집단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역연구 성격강해 나아가 북한연구가 지역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동북아지역의 정치.경제.문화 등을 전공한 학부생을 선발,현재의 특수대학원과 다른 전문적 연구자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원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