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웰치 부부의 성공 어드바이스] 천재성 있는 인재 어떻게 다뤄야 하나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8호 20면

Q. 돌출 행동도 서슴지 않는 천재 끼를 보이는 직원을 이끄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일반 직원을 대하는 방법과는 달라야 하나요? (미국 LA에서 조 버크)

A. 달라야 합니다. 천재 끼를 보이는 직원은 자신이 누구에게 고용됐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리더인 당신이 알고 있는 조직원의 윤리·의무로는 창의적인 사람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그들을 다루는 일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까워야 합니다.

이들에게는 적절히 무관심해야 하고, 때로는 심리 카운슬러가 돼 잘 보살펴줘야 합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권위는 필요합니다. 당신은 부하직원이 천둥벌거숭이처럼 행동하기를 원하지는 않겠지요. 그렇다고 무게를 잡거나 고압적이어도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들은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통찰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쟁자를 뛰어넘는 제품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업무처리 방식을 내놓을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천재적인 직원일지라도 금도는 지켜야 합니다. 조직의 가치를 존중할 줄 알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요.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궤도를 벗어나게 됩니다. 회사의 기본적인 규정과 어긋납니다.

이제 어떻게 그들을 다뤄야 하는지 살펴볼까요. 우리 부부가 권하는 방법은 통념과는 사뭇 다릅니다.

통념에 따르면 작가나 편집자, 예술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엔지니어, 과학자, 투자은행가 등은 자유롭게 내버려두는 게 상책입니다. 그들은 나나 당신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를 골똘히 생각하고 행동이 기묘하기도 합니다. 아주 쉽게 상처받기도 합니다. 그들을 일벌처럼 다루면 쏘며 달려듭니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제다이의 스승인 마스터 요다처럼 대우하면 무궁무진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난센스라고 여깁니다. 몇 가지는 맞기도 합니다. 아주 창의적인 사람은 복잡하고 섬세합니다.

일부는 사회성이 떨어집니다. 학교에서 배운 기존 통념을 거부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진짜로 창의적인 사람은 일상적인 틀에 맞춰 행동하고 사고하라면 마음의 문을 닫아버립니다. 진정한 경영자라면 이런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그러나 회사는 박물관이 아닙니다. 시장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희귀한 물건을 생산해 전시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그들의 창의성을 이용해 돈을 벌어야 하는 곳이지요. 이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사람이 자신은 자유롭고 독립적인 직원이라고 생각하도록 배려해주면 됩니다.

회사는 창의적인 사람의 돌출적인 행동을 눈감아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능이 너무 뛰어나 조직을 무시하는 행동을 서슴지 않는데 묵인되는 것이지요. 부하직원을 종 부리는 듯하는 뛰어난 과학자나 비용을 절감해달라는 회사의 요구를 묵살하는 뛰어난 작가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마케팅 부서를 무시해버리는 게임 디자이너도 그 축에 속합니다. 물론 심하지 않은 일탈행위는 창의적인 사람에게 숨통의 구실을 합니다. 작은 일탈행위를 즐깁니다.

그러나 일반 직원들은 소외감을 느낍니다. 특권을 인정해주는 것으로 비쳐 일반 직원들이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왜 저런 사람을 예외적으로 대하는 거야?”라고 반발합니다. “우리는 개밥의 도토리잖아!”라고 푸념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회사는 카오스 상태에 빠지거나 정체됩니다.

이런 상황은 비즈니스 리더에게 아주 특이한 경우입니다. 해결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처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갖게 합니다.

경영자는 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직원을 존중해야 합니다. 분명 그들은 다른 존재들입니다. 회사가 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결속력도 중요합니다. 리더는 이 두가지를 조화시키는 사람입니다. 회사가 결속력을 갖고 번창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선 안에서 천재 직원의 ‘다름’을 인정해줘야 합니다.

일정한 선을 강조하면 창의적인 사람 가운데 몇몇은 거스르고 나설 수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회사를 떠날 것입니다. 하지만 당신이 그들의 보스라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회사의 안정을 위해 원칙을 견지해야 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