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 활용방안-파급효과와 방송정책 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VOD서비스가 시작되면 각 가정의 VCR가 사라지고 동네 비디오가게들이 문을 닫아야 할 것인가.
물론 이같은 우려가 나타나고 있는것은 사실이나 일부에선 그렇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여전히 VCR의 필요성은 남는다는 것이다. 또 케이블TV.위성방송등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일부지역에선 이미 나타나고 있듯이 비디오 대여료가 크게 내려 여전히비디오 대여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비디오테이프를 사려는 사람도 늘고 있어 VCR 명맥은 계속 이어질 것으 로 보인다. 그러나 방송과 통신의 결합에 따라 대화형 멀티미디어의 등장이 대세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CD 한 장에영화.음악.백과사전.사진등 모든 영상을 담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며 전화선을 통해 영화.뉴스.스포츠.쇼핑 등 대화형서비스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금성사가 컴퓨터 소프트웨어업체인 美오라클社의VOD사업에 공동으로 참여키로 하고 세트톱박스(압축해제장치)의공급계약을 체결했고,삼성전자도 美USA비디오社와 대화형 단말기생산.판매계약을 체결했다.
내년1월 방영되는 국내 케이블TV시장의 규모가 1차연도에 5천5백억원,98년까지 약 1조5천억원정도로 예상돼 VOD시장도이에 못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VOD가 「꿈의 통신서비스」로 알려지면서 엄청난 파급효과가 예상되자 벌써부터 주무부처간에 관할권 다툼이 일고 있고 기술적인 한계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체신부.공보처등 관련부처들이 VOD서비스의 주무부처임을 공언하고 나서는가 하면 일부 전문가들은 이 서비스가 말 그대로 꿈의 서비스가 되기에는 아직 해결돼야 할 기술상의 문제가 많다고지적한다.
체신부측은 『이 서비스가 처음 선보인 미국에서도 이미 지난 92년 이를 통신의 영역으로 분리했고,통신과 컴퓨터 기술이 이용된 서비스라는 점을 보더라도 통신의 영역안에 있음이 분명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공보처는『통신사업자는 영상 제공의 주체가 아니고 이 서비스의 내용도 영상이 핵심이기 때문에 방송으로 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처간 영역논쟁과 함께 기술적인 문제점이 당분간은 큰 장애가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즉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거리에 큰 제한이 있고 현재의 통신선로 사정으로는 화질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서비스제공지역은 이론상으로는 서비스제공업체(시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국)반경 5㎞까지는 가시청거리에 들지만 실제로는 2~3㎞정도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화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설투자가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당장 제기된다.
〈朴邦柱.李炯敎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