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규 부총리 경고 "엔 캐리 급속 청산되면 외환위기급 혼란 올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권오규(사진) 경제부총리는 14일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빠르게 회수될 경우 1997년의 외환위기와 같은 혼란이 다시 찾아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권 부총리는 이날 재정경제부 직원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1980년대 핀란드.노르웨이.스웨덴 등 노르딕 3국의 자산 가격 급등은 일본은행의 대출 자금이 유입됐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에서도 97년 11월 일본 은행들이 우리나라에 대출했던 자금을 한꺼번에 회수하면서 외환위기를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 됐다"고 강조했다.

서브프라임 사태가 번지면서 국제 금융시장에 엔캐리 트레이드(낮은 금리의 엔화를 빌려 고수익 국가 자산에 투자하는 행위)의 청산 우려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엔캐리 자금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진다.

금융 전문가들은 최대 약 1조 달러로 추산되는 엔캐리 자금이 급속히 일본으로 돌아갈 경우 서브프라임 사태로 빚어진 글로벌 신용경색과 맞물려 자본시장의 변동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과거 세계적인 금융위기 때도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일제히 빠져나가면서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98년 헤지펀드인 LTCM이 파산했을 때 엔캐리 자금은 빠르게 일본으로 돌아갔다. 이 때문에 엔화 가치가 열흘 만에 17%나 급등하며 국제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다.

실제 최근 국제 외환시장에서도 미묘한 엔캐리 환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14일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은 전날보다 4.93원 올라 4월 3일 이후 가장 높은 100엔당 791.13원을 기록했다. 한 달 전인 지난달 9일(744.82원)에 비해 무려 45원이 오른 것이다. 엔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진 호주와 뉴질랜드 통화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에 들어온 엔캐리 자금은 최대 50억 달러(4조5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