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시대 전문가가 본 전망과 대비-사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이제 전통적인 가부장제적 사고는 더이상 여성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이제 많은 결혼한 여성들도 남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한 삶의 방식에만 만족하지 않고 사회와 자신과의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된 것이다.상당수의 고학력 가정주부들은「나는 비생산적인 삶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시대에 뒤떨어진사람은 아닌가」등의 갈등을 느끼게 된 것이다.
그러나 변화는 분명하지만 여전히 우리사회는 문화적 보수주의가그대로 남아있어 여러 방면에서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는 성차별주의가 취업여성의 삶 또한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제한된 취업기회,2중 역할부담,가족.친지들의 정서 적 압력등은 이들의 성취동기를 약화시키고 좌절시킨다.
다가오는 21세기,성숙한 후기 산업사회는 여성의 참여나 여성의 지도력 없이는 지탱하기 어려운 사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는미래학자들이 많다.이것은 여성이 남성처럼 공격적이고 야심적이고자기과시적이며 지배적이 되어 남성과의 투쟁에서 승리의 결과로 그렇게 된다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의 사회가 위계적이고 관료적인 제도나 문화를 더이상 수용할수 없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정보사회로의 이행은 모든 분야에서 다양성이 활성화되고 개인의 창의력과 차별화가 강조되는사회가 될 것이다.그렇게되면 지금까지 사회를 움 직여온 남성들의 특징은 잘 맞지않을 것이다.
사회가 여성의 잠재력을 절실히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여성이가지고 있는 모성,수용성,양육기질,감정이입 등의 특성이 미래사회를 움직일수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미래사회는 권위주의적 지도력보다는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잘해주 고 각 개인과친화력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더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미 후기 산업사회에 진입한 서구사회에서는 사회 각 분야에서여성의 참여율이 20세기말에 2배이상 증가했으며 지도자로서의 성공도 괄목할만큼 늘었다.한국여성도 봉사와 헌신으로 대가족을 이끌어온 앞세대의 경험을 살린다면 21세기에 맞 는 훌륭한 지도력을 발휘할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