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현대사 어떻게 고치나(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부분이 크게 바뀔 모양이다. 단순 수정이 아니라 전면 개편될 소지도 있다. 96년 교과서 개편이라는 절차에 따라 사무적으로 수정되는 부분도 있지만 현대사 구비구비 마다의 민감한 부분에 대한 이른바 문민시대 분위기가 교과서에 어떻게 투영될지도 큰 관심거리다. 단순한 호기심 차원을 넘어 교과서의 현대사 부분서술은 매우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가 어제의 현대사를 어떻게 기록·평가하고 있느냐는 입장과 다음 세대에 어떤 역사를 가르치고 싶으냐는 관점에서 중요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런 관점을 충족시키는 역사교과서가 되기 위해서는 역사의 진실과 역사의 평가라는 두가지 어려운 작업을 동시에 이뤄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자신들이 역사의 주역이었던 바로 당대의 일을 스스로 기록하고 평가하면서 역사적 진실성을 확보하기란 어렵다. 5·16이 성공한 혁명으로 평가되면 4·19가 실패한 의거가 될 수밖에 없고,6·29선언이 명예혁명이면 6·10항쟁은 빚을 잃게 된다. 역사의 진실을 기록하는 작업을 하기 전에 역사를 어떻게 펼가할 것인가만을 먼저 입력해 기록하는 권위주의 시대의 역사저술방식 탓이다. 이러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사 교과서가 바뀌게 된다.
역사 서술방식이란 대체로 두가지 방식으로 요약된다. 과거 사실이 진실로 어떠했나를 밝혀내는 과학적·객관적 연구작업이 역사 기록의 전부라고 보는 견해가 그 하나다. 그러나 과거 사실의 재생이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의 관점에서 당시의 상황을 평가하고 해석할 뿐이라는 주관적 해석방식을 주장하는 역사가도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역사 기록이란 앞의 두가지 방식이 적절한 배합을 이룬 혼합방식이다. 특히 다음 세대를 위한 역사교과서를 집필하는 작업에선 어제의 잘,잘못을 객관적으로 따지기에 앞서 오늘의 시대분위기에 휩쓸려 모든 과거를 부정하고 없애는 시각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군사정권이 문민정부의 부패만을 강조하고,문민정부가 또 군사정권의 강압성만을 부각시켜서는 올바른 역사 평가가 될수는 없을 것이다. 개발과 독재라는 군사문화의 양면성,문민정부가 지녔던 비효율성과 자율성 등의 양면성을 동시에 보면서 한 시대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두가지 안목이 동시에 적용돼야만 역사기록을 역사로서의 온당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정부는 이달중에 역사교과서 개편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특히 현대사 부분을 담당할 연구팀까지 구상중이라 한다. 지금까지 잘못된 역사교과서도 모두 관계 전문가들의 손을 거친 역사 기록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역사란 단순히 시내 분위기를 좇는 역사의 평가가 아니라 역사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한 평가여야 함을 재삼 확인하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