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학생대결」 회귀 우려/한총련의 폭력시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투쟁지양 약속 출범식부터 “삐긋”
개혁시대를 맞아 온건합리적 투쟁을 표방하며 28일 출범한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의장 김재용 한양대 총학생회장)이 출범직후부터 불법 과격시위를 벌이고 정부는 이 단체의 간부들에 검거령을 내림으로써 문민정부 출범후 변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정부와 학생관계가 다시 갈등관계로 빠져들 조짐이다.
이는 한총련이나 정부가 다같이 기대하거나 바랐던 것이 아닌것 같다.
한총련은 『시대변화에 맞춰 학생운동을 대중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간다』는 원칙아래 출범식을 준비해왔고 정부도 학생들의 평화적인 시위는 보장한다는 과거 권위주의 정부와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정부와 한총련의 관계는 광주진상규명괌 책임자 처벌이라는 뜨거운 문제에다 한총련 스스로 발대식을 과격시위로 변질시킴으로써 과거 권위주의 정부아래의 대결구도로 회귀하도록 만들고 있다.
한총련은 과거 투쟁적인 전대협을 계승하면서도 「생활·학문·투쟁의 공동체」라는 캐치프레이즈에서 나타나듯 「투쟁」을 일단 뒤로 돌리고 강의평가제·학내복지향상·취직난 해소방안 모색 등 학생들과 직접 관련된 현안에 눈을 돌릴 계획이었고 현정부도 타도의 대상으로 보지않고 올바른 개혁을 하도록 압박하고 감시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시위때도 투석·화염병·최루탄 증 물리적 대결을 피하고 정부측과의 사전대화·평화적 시위·캠페인 전개 등 유연한 방법을 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집행부가 표방한 이같은 건전한 노선변화는 발대후 시위과정에서 깨지고 말았다.
광주문제는 반드시 풀려야하고 그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는데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광주문제는 한총련이 하고자 하는 여러활동 가운데 하나다.
한총련이 이 문제에 매달려 발족 첫날부터 정부와 대결하고 경찰의 수배로 지도부가 마비됨으로써 제기능을 못하게 된 것은 한총련 스스로에도 결코 이익이 아니라는 점에서 앞으로 학생들의 현실참여운동에 상당한 제약과 한계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권태동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