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공사ㆍ환경오염등 집단소송제 도입절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백화점 사기세일에 이어 뉴질랜드산 홍합의 세균소동, 미국산밀의 맹독성농약 검출사건등의 잇따른 발생으로 소비자의 집단피해 가능성이 최근 부쩍 높아지면서 「집단소송제도」를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강력히 일고 있다.
한 예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그 대상이 엄청날 식품의 지난해 수입량은 모두 3조5전여억원어치로 90년보다 약20%늘어났고, 검역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불량식품도 1년새 2·6배(91년 약41억원어치→약1백5억원어치) 나 늘어 소비자들을 불안케 하고있다. 국내외 식품· 약품에 의한 사고및 각종 결함제품에 의한 집단피해 가능성에 대비해 이 제도를 속치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소비자문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집단소송제도가 도입되면 비록 피해액과 정도가 경미하더라도 많은 사람이 같은 피해를 당했을 경우 소송을 낸 개인·법인등 당사자는 물론 일정한 절차에 따라 신고한 모든 사람들에게까지 법원판결의 효력이 미치기 때문에 소비자보호에 새 양이 열리는 셈이다.
한국소비자보호원 소비생활연구실 강창경박사 (책임연구원) 는 『법무부가 추진중인「집단소송에 관한 일반규제법」은 상품 결함등 소비자 집단피해와 환경 집단피해, 그리고 행정처분에 의한 집단민원등 3가지에 대한 소비자보호를 중점적으로 제도화할 것』 이라고 전한다. 따라서 이 제도가 도입되면 최근 2년새 소비자보호원에 20명이상이 한꺼번에 집단민원을 낸 30건어상의 ▲부실공사·과장광고에 의한 주택민원▲도서· 회원권문제▲농수산업 관련민원 뿐만 아니라 백화점의 바겐세일에 의한 피해, 환경오염피해, 은행·보험등 각종 불합리한 약관에 의한 집단피해등에 대한 보상이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제도도입을 위해 법무부는 늦어도 4월알까지 법초안을 낼 방침이나 내용 여하에 따라 기업들과 행정처분을 내리는 각부처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특히 소보원과 법률구조공단외에 민간소비자단체 가운데 어디까지를 「대표소송」의 주체로 할 것이냐에 대해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왜냐하면 국내 소비자운동 관련단체들이 소비자들의 의식을 일깨우는등 많은 역할을 해온 것은 사실이나 영세성· 비과학성등 때문에 기업으로부터 썩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곳도 상당수 있기때문이다. < 김영격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