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설비 입찰 출혈경쟁/예정가의 40% 밑돌아 부실공사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환경산업의 시장규모가 커지면서 관련업체들이 시장을 먼저 차지하기 위해 공사예정가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가격으로 입찰에 나서는 등 출혈경쟁으로 인해 비싼 돈을 들여 짓는 환경설비의 부실공사가 우려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주)대우·동부건설 등 관련업체들은 올해 ▲산본·분당·광주·부산 해운대 쓰레기소각시설 ▲서울 김포 및 난지도 매립지가스소각로 ▲지방공단 및 업종별 조합들이 추진하는 공동산업용 소각로 등 대형 소각시설발주가 줄을 이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외국 유명환경설비업체와 기술제휴를 활발히 하는 등 시장선점을 위한 다각도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중 지난해 가장 큰 규모였던 서울 노원 쓰레기 소각설비(예정가격 1천4백억원)는 현대중공업이 예정가격의 40%에도 못미치는 5백53억원에 공사를 따냈으며 지난해 12월31일 낙찰된 서울 목동 쓰레기 소각설비도 선경건설이 예정가격의 56%인 2백58억9천3백만원에 수주했다.
이에대해 조달청 관계자는 『보통 예정가격의 80%는 돼야 이윤을 제외한 공사실행예산을 건질 수 있다』면서 『지나친 저가입찰로 인해 고난도의 시공능력이 요구되는 소각설비공사의 품질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업계관계자는 『이같은 출혈경쟁이 지속된다면 연구개발투자는 생각할 수도 없게돼 외국기업과 제휴해 봤자 기술발전은 커녕 비싼 로열티만 버리게 될 것』이라며 『각사가 경쟁력있는 부문을 특화,전담연구인력을 양성하는 등 「교통정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업체들이 이렇게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공사를 수주하려는 것은 시공실적을 쌓아야 97년까지 총 2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소각설비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