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도 크게 변해야 한다(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선에 패배한 야당들이 체제정비와 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아직껏 활력을 되찾지는 못하고 있다. 민주당은 그런대로 이기택대표 중심의 당운영으로 일단 표면상 안정을 찾았지만 국민당은 정주영대표가 여태 당무에도 복귀하지 않고 있다.
나라를 위해서나 정치발전을 위해서나 건전한 야당,강력한 야당이 반드시 필요함은 누구나 아는 일이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대선의 지지율 숫자와도 상관없이 민자당은 기세 등등한 반면 야당들은 지나치게 풀이 죽어 있다. 우리는 이런 기간이 오래 계속되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민감한 정권교대기에 야당들이 국정의 이모저모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들뜨기 쉬운 새 정권의 허점을 찔러주는 것이 나라를 위해 필요한 일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야당들의 빠른 안정과 역할회복을 기대하고 촉구하고자 한다.
우선 김대중씨가 빠진 민주당에 대해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번 기회에 당의 체질을 민주화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김대중씨라는 우뚝한 지도자의 존재로 만사를 1인에 의존하고 당원은 물론 중진·간부라고 하는 사람들까지도 따라만 가는 것이 민주당의 모습이었다. 이젠 김씨도 물러난 이상 내부에 다양한 의견이 나와야 하고 민주적 과정으로 그것을 수렴하는 당내 민주화가 이룩돼야 당원들의 참여의식­당활성화가 고취될 수 있을 것이다. 또 그래야 당내 야심가들의 능력·지도력의 차별화와 무리없는 서열체계의 형성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민주당이 역점을 둘 일은 지역당 성격을 하루빨리 극복하는 일이다. 대선에서 뼈저리게 느꼈겠지만 특정지역에 매여서는 장래 역시 어둡다. 당의 문호를 활짝 열고 전국민의 이해와 정서를 대변하는 당이 돼야 한다.
당내 민주화의 필요성은 민주당보다 국민당에 훨씬 더 절실하다. 국민당은 정주영씨의 사당성격과 현대그룹에서 놓여나는 일이 급선무일 것이다. 선거때의 비상체제에서는 대통령후보가 거의 전권을 휘두르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평시에도 1인 독단체제로 간대서야 당발전이 될리가 없다. 그리고 실제 운영과 이미지에서 「현대당」을 벗어나야 한다. 국민당이 현대에서 벗어나야 하고 현대도 국민당에서 놓여나야 한다.
우리는 국민당이 내부에서 현대와의 분리를 말하면서도 선거후 첫 의원총회를 경주의 현대호텔에서 연 것은 지나치게 부주의하거나 무감각하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선거기간중에 터져 아직도 수사가 진행중인 현대중사건을 위시해 허다한 현대관련사건에 대해서도 사과할 것은 사과하고 해명할 것은 해명하는 것이 좋겠다. 그런 바탕위에 새로 당의 진로·민주화 등을 논의함으로써 당을 재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야당들도 이젠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