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산업 국가차원 육성 절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항공산업육성을 위한 국가적인 강력한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항공·우주기술의 발전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24일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항공우주연구소(소장 홍재학)주최로 대덕에서 열린다. 이날 발표되는 주요 내용을 미리 들어본다.
◇항공우주산업과 국가발전전략(민성기·국방부 획득정책과장)=한국의 항공·우주분야 개발계획은 지난87년 항공·우주산업개발 촉진법을 제정함으로써 추진돼 오고 있으나 개발전략이 없는 개별사업 추진. 분산된 수행체제 및 기술개발투자의 한계 등으로 난관에 부닥치고 있다.
이 사업은 반드시 국가적 차원에서 기획되고 국방분야와 민간분야의 종합적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 현재 군용은 국방부가, 상용은 상공부가, 주요 핵심기술과 부품은 과기처가 분산·수행함으로써 인력과 예산이 중복되고 있는 수행체제도 조직화해야 한다.
◇항공우주산업 기술발전을 위한 제언(이대원·한국 항공우주산업 진흥협회장)=우리나라는 항공기분야에서 91년에 20억 달러의 수입과 2억 달러의 부품수출로 18억 달러의 무역역조를 기록한 바, 이는 국내외 여객수요는 급증하는데 국내 생산체제가 갖춰져 있지 못한 때문이다.
아직 항공기 개발제작기술이 전무해 완 제기 생산은 상당기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항공산업은 창 정비 및 기체·엔진부품 생산단계로 저급기술수준에 머물러 있다.
항공우주산업은 다른 나라에서 보듯 정부의 육성의지 없이는 불가능하므로 범부처적 종합추진을 위해 대통령 직속의「항공우주산업 개발 단」(가칭)과 같은 기구를 창설해야 하며 「항공우주산업육성 기본계획」도 조속히 마련, 추진해야 한다.
◇우주기술의 동향과 전망(황보 한·한국통신 위성사업단장)=한국은 95년4월 무궁화위성(코리아 샛)의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위성 체와 발사 체 및 지상장비의 대부분을 구매에 의존하는 초기단계다. 우주산업국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연구비의 투자와 우주개발 사업을 효율적으로, 기획·집행하는 기관, 예로써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 일본의 우주개발사업단(NASDA), 프랑스의 국립우주연구센터(CNES)와 같은 기구와 우주정책을 심의 조정하는 「우주정책심의회」가 있어야 한다.
또 전문기술인력확보를 위해 수백 명으로 추산되는 해외 우주산업관련 종사자들의 유치·활용방안도 검토돼야 할 것이다.
한편 발사 체 기술의 경우 선진국의 모형을 따르기보다 최소의 비용으로 소형위성을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고공비행 중 발사 체」와 같은 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 비싼 비용, 넓은 면적의 발사 장 시설은 필요 없게 된다.
◇항공기술의 동향과 전망(노오현·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에너지 절약형·저소음·고안전성·초대형 여객기 쪽으로 개발되고 있다. 넓은 공항시설이 필요 없는 수직 이-착륙 기는 군용으로 개발돼 민수 용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수행중이며 2000년대 초에는 재래식 제트엔진과 로킷 엔진을 적절히 병행시키는 엔진을 장착, 서울∼뉴욕간을 한두 시간에 비행할 수 있는 우주항공기도 등장할 것이다.
우주왕복선도 지금처럼 로킷 추진으로 이륙했다가 활주로에 착륙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활주로를 이용해 이-착륙하는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 <신종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