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 부과금 미납업체 많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허용기준치가 넘는 산업폐수·대기오염물질 등을 내보내는 기업에 물리는 공해 배출 부과금이 83년 이후 모두 1백50억원 이상 징수되지 않고 있어 제도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5일 환경처에 따르면 이 제도가 도입된 83년부터 올 6월까지 공해업체 1만7천3백69곳에 모두 4백49억여원의 부과금을 부과했으나 이 가운데 33.6%에 해당하는 1백51억여원이 징수되지 않았다.
기업별로는 대구염색공단(비산염색단지)이 20억8천여만원을 내지 않고 있으며 ▲부산피혁 ▲경북피혁 ▲이화산업 ▲풍한피혁 등도 약 2억∼5억원씩의 부과금을 내지 않고 있다.
특히 1백51억원 중 절반이상은 해당기업이 폐업 또는 도산해 부과금을 거둘 수 없는 실정으로 제도운영의 실효성이 의심스럽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관계자들은 부담능력이 없는 영세기업에 일률적으로 부과금을 부과하는 현행 제도와 징수방법을 개선해야한다는 의견들이다.
환경처는 징수실적을 높이기 위해 ▲부과금을 내지 않는 기업에 대한 재산추적 및 압류 ▲부과금 납부기간의 연장(4년 내 18회 분할납부) ▲업체의 카드화관리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업체의 능력을 감안한 차등부과나 공해방지 재원의 지원 등 공해발생을 사후에 문제삼기보다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한편 환경처는 83∼91년 모두 2백97억여원을 거둬 환경오염 방지기금을 조성, 환경관리공단이 민간업체에 2백97억여원을 공해방지시설 재원으로 빌려주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