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공짜 지도 서비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1. 구급대원 A씨는 긴급출동 호출을 받았다. 도심 한복판 대형 건물에 불이 난 것이다. 그는 구급차에 오르자마자 단말기를 꺼내들었다. 본부에 연결하자 교통상황을 고려한 접근 루트와 건물의 층별 설계도, 사람이 몰려있는 장소 등의 데이터가 전송됐다. 현장에 도착한 A씨는 망설일 필요 없이 출입구를 찾아 들어갔다.

#2. 지방에 새 대리점을 내는 임무를 맡은 영업관리 사원 B씨는 우선 인터넷에 접속했다. 마음에 두고 있던 지역의 주소를 입력하니 화면에 상세한 지도가 떴다. 지도에 나타난 건물을 다시 클릭한 순간 건물에 입점한 업체들의 목록이 떴다. 주변 건물도 차례로 검색한 끝에 이 거리에 유사한 업체가 서너 개 더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B씨는 1시간 만에 대략적인 상권 분석을 마치고 출장을 떠날 수 있었다.

행정자치부가 구상 중인 몇 년 뒤의 모습이다. 112억원을 투입해 진행하고 있는 주소 데이터베이스(DB) 사업이 완성되면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이 상당수 실현된다는 것이다. 행자부는 1단계로 37억원을 들여 도로 이름 주소를 확정한 128개 시.군.구의 기초 DB 구축을 모두 마쳤다.

?휴대전화로 지도 받는다=당장 내년부터 서비스되는 것이 있다. 우선 휴대전화 8212(빨리이리)를 누르면 DB 구축이 끝난 128개 시.군.구의 지도를 받아볼 수 있다. 원하는 상대에게 보낼 수도 있다. 지금도 이동통신사의 부가서비스가 있지만 행자부 시스템은 통화요금을 제외한 부가서비스 사용요금이 없다.

인터넷 새 주소 포털(www.juso.go.kr)도 내년부터 서비스된다. 이 사이트에서는 새 주소 확인과 주변 지도 검색, 전화번호 등 간단한 생활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지금도 이런 정보는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모두 민간업체들이 자체 구축한 것이어서 정확성에 대한 보장이 없다. 인터넷이나 내비게이션에 나오는 지도에 생략된 곳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주소 DB 구축사업을 담당한 한국공간정보통신 김대현 대표는 "민간업체가 지도정보를 구축하려면 수천억원이 들기 때문에 국토지리원의 기본 지도를 응용한 테마지도를 서비스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정부의 주소 DB는 법적인 뒷받침을 받아 정부기관이 작성하는 것이어서 훨씬 정확하다고 행자부 측은 강조했다.

소방서와 경찰, 복지부, 우체국 등 공공기관에도 자료가 제공된다. 행자부 관계자는 "정확한 위치 검색이 가능해지는 것만으로도 4조3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는 생기며 긴급한 일처리가 필요한 공공기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력한 인프라, 주소 DB=행자부는 모든 건물에 새 주소를 부여하는 사업을 진행해 왔다. 우선 모든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 양 옆의 건물에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 자료를 통합한 것이 주소 DB다. 일단 올해까지 새 주소 이름을 확정한 128개 시.군.구의 정보 입력이 끝난다.

2008년까지는 모든 지자체의 주소 입력 작업이 완성된다. 새로 지어지는 건물이나 거리에는 준공검사 시점에 자동으로 정보가 입력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정부는 입력이 끝난 뒤 설계도와 주변 사진 등 부가 정보도 추가 제공할 계획이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