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주일대사관 또는 주일공관은「작은정부」 라고 불린다. 정부부처가운데 1∼2명씩 일본에 주재관을 파견하지 않은 곳이 없기때문이다.
얼핏 무슨 필요가 있겠느냐 싶지만 법원행정처와 총무처까지 주재관을 파견하고 있다. 재일동포들의 호적정리와 일본의 공무원제도를 연구하기 의해서다.
일본에는 우리민족 60여만명이살고 있다. 그들의 소속이 남북한 어디든 간에 결국 주일대사관은 그들을 대표하고 관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작은정부」 가 됐다.
주일공관은 동경의 대사관과 도쿄·오사카·후쿠오카·고베·삿프로·나고야·요코하마·니가타·센다이등 9개의 총영사관과 오키나와에 있는 1개의 영사관으로 구성돼있다.
각 공관에는 특히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1백30여명의 공무원들이 파견돼 있고 이중 외무부소속은 80여명정도다. 현지 직원까지 포함하면 2백50명 남짓한 수준이다.
동경의 대사관만 보더라도 외무부에서 30여명, 타부처에서 40여명이 파견되어 있고 예산도 적지않다.
많은 공관들이 교포의 무상기증으로 설치돼 이미 국유재산화 돼있는데도 순수운영경비가 연간6백여만달러정도 든다.
물론 직원들의 월급이나 특별활동비등은 포함하지 않은 액수다. 직원의 수·경비에서 주미대사관보다 규모가 조금 커 결국우리의 재외공관가운데 가장 큰 규모라고 할수 있다.
일제36년을 지나 한일 양국관계가 시작된 것은 1949년1월19일 주일대표부가 설치되면서부터다.
「불행한 과거」 의 유산인 재일교포들이 주일공관에 기여한 공로도 크다.
현재 동경의 우리대사관은 62년 재일동포 유력기업인이었던 서갑호씨가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소재의 토지및 건물 (대지 3천5백1평, 일본식 2층건물 1동) 을매입, 우리정부에 무료제공한데서 시작됐다.
서씨는 .62년 이를 한국정부에 무상기증했고 정부는 70년 미나트구 시로가에 대사관저를 마련했다.
78년 주일대사관은 서씨가 기증한 부지의 서목에 위치한 5백80여평을 구대사관저와 등가교환, 대지 3천68평에 2천1백54평의 청사와 관저를 79년 완공, 현재 사용하고 있다.
이밖에 고베·나고야총영사관은몇몇 유력 교포들이 정부에 무상기증한 것이다.
특히 요코하마총영사관은 가나가와·시즈오카현 교포 약2백명의 성금으로 구입, 66년 이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며 이밖에 삿포로· 시모노세키·센다이등의 공관도 비슷한 경우다.
공관규모의 산술적 비중이 곧 그나라에 대한 우리의 정치·경제적 의존및 관심도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일양국관계의 심화·발전은 양국의 필요에 의해서만이아니라 이처럼 재일교포들의 희망과 노력의 결실이기도 하다.
이번 가이후일본총리의 방한을계기로 부분적이나마 재일한국인의 법적·사회적 지위가 개선된것은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