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ML "中, 대만 침공시 TSMC 공장 장비 원격 셧다운 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첨단 반도체 장비업체인 네덜란드 ASML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는 상황이 벌어질 경우 대만 내 ASML 설비를 원격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시에 최첨단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유출되는 걸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미국 정부 관리들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대만 내 반도체 생산시설은 어떻게 되느냐"면서 대만과 네덜란드 정부에 우려를 표했다. 이에 ASML 관계자는 "원격으로 장비를 강제로 셧다운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네덜란드 정부와 ASML은 중국의 대만 침공 상황을 가정하고 시뮬레이션까지 해본 것으로 알려졌다.

최첨단 반도체 장비업체인 네덜란드 ASML이 중국이 대만에 침공할 경우, 대만 반도체업체 TSMC가 보유 중인 자사 장비를 원격으로 강제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3년 7월 5일 대만 반도체 업체인 TSMC 로고 밑에 직원이 서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최첨단 반도체 장비업체인 네덜란드 ASML이 중국이 대만에 침공할 경우, 대만 반도체업체 TSMC가 보유 중인 자사 장비를 원격으로 강제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3년 7월 5일 대만 반도체 업체인 TSMC 로고 밑에 직원이 서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해당 장비는 시내버스 크기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로, 인공지능(AI) 및 군사용 반도체 칩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인다. 이 장비는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원격 비상정지(킬 스위치) 장치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대당 가격이 2억 유로(약 2960억원)인 EUV 장비를 만들 수 있는 업체는 ASML이 유일하다. ASML은 2016년 처음 개발한 이 장비 가운데 200대 이상을 중국 외 다른 국가에 팔았는데, 가장 많이 구매한 업체는 TSMC다.

앞서 마크 류 TSMC 회장도 지난해 9월 CNN과의 인터뷰에서 대만이 침공을 받는다면, TSMC 공장은 셧다운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아무도 TSMC를 무력으로 통제할 수 없다"며 "군사 침공이 발생하면 TSMC 공장을 가동할 수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은 2023년 7월 5일 대만 신주 과학단지의 TSMC 혁신 박물관에서 방문객들이 스크린에 표시된 웨이퍼를 보는 모습. AFP=연합뉴스

사진은 2023년 7월 5일 대만 신주 과학단지의 TSMC 혁신 박물관에서 방문객들이 스크린에 표시된 웨이퍼를 보는 모습. AFP=연합뉴스

현재 네덜란드 정부는 미국의 요청으로 해당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미국 정부는 첨단장비 수출금지령이 시행되기 전부터 ASML 장비를 중국에 수출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한편 ASML, TSMC, 네덜란드 무역부는 해당 보도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고,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와 국방부, 상무부 대변인도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밝혔다.

라이총통에 중국 십자포화…양안 긴장 

최근 대만 최고 지도자 교체와 맞물려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지난 20일 취임한 라이칭더(賴淸德) 신임 대만 총통이 독립 의지를 내비쳤다면서 십자포화를 날렸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스스로 '대만 독립운동가'라고 칭한 라이칭더가 양안 대립과 대결을 선동하고 있다"면서 "헛된 약속으로 대만에 해를 끼치지 말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중국이 취임 첫날부터 라이 총통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향후 양안 관계에 험로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이 실제로 대만을 침공하면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지난 1월 미 경제매체 블룸버그 산하 연구소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중국이 대만을 침공한다면, 세계 경제 국내총생산(GDP)이 10조 달러(약 1경 3000조원) 줄고, 특히 한국 GDP가 23% 이상 급감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당사국인 대만(-40%)에 이어 경제적 타격이 가장 큰 나라가 될 것이란 예상이다. 한국의 피해 규모는 전쟁 당사국인 중국(16.7%)이나 일본(13.5%)·미국(6.7%)보다 클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