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1000대 기업 “3국 관계 개선 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한국·일본·중국 기업들이 경제적 이익과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해 3국 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국 기업들은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원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3국의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한국 100곳·일본 107곳·중국 111곳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달 말 열릴 가능성이 있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앞두고 지난 3월 22일~4월 8일 조사했다. 한경협이 한·일·중 3국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제 현안에 대해 공동 설문을 진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어느 나라 기업과 협력하고 싶은지 묻자, 일본·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의 협력 의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0점 척도를 기준(점수가 높을수록 협력 의향 높음)으로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과 협력 의사가 컸다.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 협력을 선호했다. 한국 기업은 일본 기업(6.3점) 및 중국 기업(6.1점)과 협력 의향이 비슷했다. 한경협은 “협력 의향이 보통(6점) 이상인 기업 수로 환산하면 중국 기업의 88%, 일본 기업의 50%가 한국 기업과 협력 의사를 밝혔다”고 밝혔다.

3국 간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의 의지가 가장 높았다. 한국 기업의 75%는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고, 일본 기업은 46.7%, 중국 기업은 45%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개선이 필요한 이유로는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꼽았다. 일본·중국 기업은 ‘동북아 안보 및 평화’(일본 40%·중국 4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자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다. 한국·중국 기업은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한국 25.2%·중국 23.9%)를 1순위로 꼽았다.

가장 큰 경제 현안으로 한국과 일본 기업은 ‘원자재 가격 불안정’(한국 38%·일본 35%)을 꼽았다. 중국 기업은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42.3%)라고 응답했다. 아울러 3국 기업 모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 인력 감소를 심각하다고 인식했으며(한국 81%·일본 77.6%·중국 62.2%), 5~10년 뒤 핵심 노동인력이 부족해질 것(한국 34%·일본 45.8%·중국 38.7%)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