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인도 방문 우리가 먼저 검토”…외교부 ‘문 회고록’ 배치된 입장 밝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재인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지난 2018년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인도 방문은 인도 측이 먼저 초청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정부가 이와 배치되는 설명을 내놨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인도 측은 2018년 11월 허황후 기념공원 착공식과 디왈리 축제에 당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초청했다. 정부는 “여타 외교 일정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강 장관의 참석이 어렵다고 인도 측에 통보했다.

그러자 인도 측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재차 초청했다. 정부는 문체부 장관의 행사 참석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영부인이 함께 인도를 방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인도 측에 설명했다.

외교부는 “우리 측의 설명에 인도 측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명의 초청장을 보낸 것”이라고 했다.

즉 인도 측은 해당 행사에 문 전 대통령이 아닌 외교부 장관을 초청했고, 이후 우리가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검토 중임을 밝히자 초청장을 보냈다는 것이다.

외교부는 김 여사 관련 예산은 “주관부처인 문체부에서 관련 예산을 편성 및 지출했다”며 외교부 출장자에 대해서만 여비를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의 설명대로라면 애초에 인도 측은 해당 행사에 문 전 대통령이 아닌, 외교장관을 초청했으며 이후에 우리가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검토 중임을 시사하자 초청장을 보낸 것으로, 문 전 대통령의 회고록 내용과는 배치된다.

김 여사는 문 전 대통령 재임기인 2018년 11월 3박4일 일정으로 인도를 찾았다. 문 전 대통령은 동행하지 않았다. 2022년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측은 “우리 정부가 먼저 김 여사의 방문을 제안했다. 예비비 4억원을 졸속 편성한 타지마할 혈세 관광”이라고 주장했고, 민주당은 “인도 총리의 공식 초청을 받았다”고 맞섰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은 자신의 재임 시절 외교 비화를 담은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 “모디 총리가 허황후 기념공원 조성 계획을 설명하면서 개장 때 꼭 다시 와달라고 초청했다”며 “나로서는 인도를 또 가기가 어려워 고사했더니 인도 측에서 ‘그렇다면 아내를 대신 보내 달라’고 초청해 아내가 대신 개장 행사에 참석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이 얘기를 소상하게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도 아내가 나랏돈으로 관광여행을 한 것처럼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당시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배우자의) 첫 단독 외교”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단독 외교가 아닌 단독 외유”라고 비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