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각계의 의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유선TV가 아직은 우리 생활에 피부로 와 닿지 않은 상황에서 운영 주체·방송 내용 등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14일 종합 유선방송 제도 입안을 위한 공청회를 가졌던 정부가 이 같은 분위기를 감안, 내년 1월 중순께 공청회를 다시 열 방침인 가운데 각계 의견을 종합해 본다.
◇박준영씨(KBS-TV 편성국장)=유선TV의 등장은 기존 공중파 방송과 위성방송 등 여타 매체와 깊은 관련을 가진다.
거시적 안목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체제 연구가 없으면 실패할 우려도 크다.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 활성화 체계는 물론 유선TV의 지역 기반 세력도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심의·조정 체계가 확고히 자리잡고 있어야 파행적 운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유흥열씨(MBC-TV 제작 부국장)=유선TV는 무엇보다 전문 채널의 활성화와 지역 기반을 뚜렷이 구축한 정보 체계화가 필요하다.
채널이 많아질수록 전문화만이 살길이다. 지금 우리 환경에서 자기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있는 교통 방송과 급격히 늘어나 정착 단계에 있는 지역 신문들을 보면 유선TV의 제작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전옥숙씨(프로덕션 시네텔 서울사장)=시청률을 의식, 다분히 오락성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초기 채산이 안 맞는 등의 국내 여건상 외국 프로그램 수입에 따른 국내 문화 침식 현상이 우려되며 이를 막기 위한 지역 생활 정보 프로의 강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프로그램 질 저하가 걱정되는 만큼 지방 자치 단체보다 정부가 허가권 자로 나서 통제 위주보다 심의·관리·감독에 신경 써야 한다.
운영 또한 재벌 참여가 위화감은 있으나 투자를 고려, 배제가 어렵고, 언론의 경우 유선TV까지 경영하는 것은 문제나 이 또한 현실적으로 제외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이호영씨(34·회사원)=월1만원 이내에서 시청료가 정해지면 가입할 생각이다. 언론·대기업 등의 참여는 내용의 편파 우려 등으로 반대하며 허가권 자는 지방 자치 단체장이 되어야 지방화 시대에 적합할 것 같다.
방송 프로그램 내용은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 정보와 함께 TV에서 방송하기 곤란한 오락성 짙은 프로를 기대한다. 즉 프로의 다양화·차별화가 되어야 한다.
◇한송자씨(51·주부·서울 신림동)=유선TV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질 낮은 방송에 대한 우려 때문에 막상 방송이 시작되더라도 가입할 의사는 없다.
어쨌든 부모가 자녀와 함께 봐도 좋을 정도의 윤리성과 공정성이 유지되길 바라며 특히 프로마다 어린이·청소년·노인 등 그 대상이 확실 해야한다.
◇곽동근군(25·국민대 국사학과4년)=유선TV에 관해 많은 자료가 나오는데도 불구, 일반 대중으로부터 주된 관심을 끌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유선TV의 유용성에 대해 더 자세하고 광범위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보며 유선TV가 교양·문화에 비중을 두었으면 한다.
운영도 정부 중심적 보다는 지방 특성을 살린 자치적인 방식이 좋을 듯 싶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