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첫 전파종합 유선TV 심의기능 강화 질 높여야|14일 열린 공청회 지상중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정부가 방송구조개편과 정보통신체계개발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종합유선방송사업에 대한 공청회가14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종합유선방송이 국내에서 처음 도입되는 새로운 미디어이며 세계적으로도 미국의 뉴스전문방송인 CNN과 스포츠·영화채널만 자리잡는 것에서 보듯 성공사례가 적어 우리 나라에서의 성공이 불투명한 가운데 이 공청회는 각계의 의견과 여론이 개진되는 첫 마당이어서 주목을 끌었다.
이날 참석자들은 특히 ▲종합유선방송 주체로 대기업·언론사의 참여 허용여부 ▲정부의 방송사업에 대한 간섭·규제 문제 ▲프로그램의 양적 공급과 질적 고급화 문제 ▲국내 현실에 맞는 유선방송모델 개발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종합유선방송 추진 위 제도소위 위원장인 김우룡교수(외대·신문방송학)는 「종합유선방송법안의 기본골격안」설명을 통해 『정부의 시안은 개정된 방송법의 기준과 취지를 준용한 것이 많다』며 『방송환경 등이 격변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상황에 대처하는 유선방송 초기 정착단계의 기반 마련이 크게 감안됐다』고 말했다.
다음은 각계를 대표한 참석자들의 토론요지.
정광호(한국소비자연맹회장)=기존의 중계유선방송에 가입한 소비자들은 유선방송의 필요·선호는 충분히 가지고 있으나 프로그램 등이 크게 미흡하다. 성공이 쉽지 않은 것 같은 종합유선방송의 주체에 제한을 두지 말고 능력 있는 자에게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기흥(한국방송광고공사 전무)=유선TV는 공중파TV와는 달리 채널·시간 등의 제한이 없으므로 정보로서의 광고를 대폭 수용해야한다. 광고의 질적인 부분의 심의는 강화하되 프로그램화된 상업 정보의 육성이 필요하다.
최종수(중앙대·전자공학)=유선방송은 위성통신·광역종합정보통신망(ISDN)의 확장 등 미래 정보체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기적 안목으로 표준화·통일 등에 깊은 연구를 해야 한다.
정중헌(스포츠조선 문화연예부장)=내년 봄 예정된 시험방송에 조차 공급할 프로그램이 없다. 정부의 적극적인 프로그램 육성책이 절실하다. 기존 중계사업자들이 기업·조합 등으로 조직적인 성장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심현우(방송제작인 협회회장)=대기업·언론사 등은 기존 TV·라디오 방송인 공중파에서처럼 참가가 배제돼야한다. 프로공급자들의 영세성과 전문인력부족을 감안, 당장 공익자금 지원 등에 의한 「프로그램제작기금」마련 없이는 유선방송사업전체가 붕괴될 위기다.
최병수(한국유선방송협회전무)=3백만 명의 가입자를 갖고있는 9백여 기존 유선방송사업자들은 새로운 종합유선방송제도가 생존권마저 박탈할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있다.
전석호(중앙대·신문방송 학)=유선방송은 철저히 지역의 기반시설이 돼야한다. 유선방송을 관리·감독하는 강력한 유선방송위원회가 필요하다.
전옥숙(시네텔서울대표)=정부안은 지나친 관 주도형이다. 뉴스프로까지 포함, 프로그램 다양화를 위한 자유로운 사업 경쟁을 유도하자.
박준영 (KBS TV편성국장)=첨단기술이 발전한 일본에서도 10년 후나 채산성이 맞는다고 평가되는 유선방송을 너무 성급하게 추진하고 있다. 공중파와 전혀 다른 종합유선방송 본연의 성격을 살리자면 주체·프로공급·전송망사업 모두에 개방화·다원화가 필요하다.
김광옥(수원대·신문방송 학)=지방자치제실시로 유선방송이 지역에 기반을 두면 대기업·언론사 참여에 우려할 요소가 없다.
정부가 시험방송도 전혀 못하고 시안을 내놓은 것은 앞뒤가 뒤바뀐 것이다. <채규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