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청소년기 문제는 '이것'의 미성숙...최선과 최악 사이 인간행동 탐구[BOOK]

중앙일보

입력

책표지

책표지

행동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학동네

우리 뇌에 이마엽 겉질이란 게 있다.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성숙되며 20대 중반에야 온전한 능력을 얻는다. 이마엽 겉질은 정서 조절, 충동 통제, 작업 기억 등의 역할을 한다.

청소년기 초반에는 이마엽 겉질이 미성숙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생겨난다.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및 의대 신경학과 교수인 로버트 M 새폴스키가 지은 책 『행동』에 따르면 바로 이 사실 때문에 청소년기가 그토록 절망적이고, 멋지고, 아둔하고, 충동적이고, 고무적이고, 파괴적이고, 자기파괴적이고, 이타적이고, 이기적이고, 힘들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시기이다.

(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 1일 오전 대구 달서구 계명문화대 체육관에서 열린 '2023년 달서구 청소년 어울림마당-고3 문화축제'에 참석한 고교생들이 축하공연을 관람하며 환호하고 있다.  2024학년도 수능을 마친 고3 수험생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축제는 달서구 지역 5개 고등학교 학생 1300여 명이 함께 즐겼다. 2023.12.1/뉴스1

(대구=뉴스1) 공정식 기자 = 1일 오전 대구 달서구 계명문화대 체육관에서 열린 '2023년 달서구 청소년 어울림마당-고3 문화축제'에 참석한 고교생들이 축하공연을 관람하며 환호하고 있다. 2024학년도 수능을 마친 고3 수험생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축제는 달서구 지역 5개 고등학교 학생 1300여 명이 함께 즐겼다. 2023.12.1/뉴스1

위험한 결정을 내릴 때 청소년의 이마엽 겉질은 성인보다 덜 활성화하는데 이는 그만큼 위험 평가 능력이 떨어진단 이야기다. 청소년기는 또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뿐 아니라 더 많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시기다. 십대 후반 청소년들은 아이나 어른보다 감정을 더 강렬하게 느낀다. 또 청소년기에는 폭력성이 최고조에 달한다고 한다. 평균적인 성인만큼의 자기 조절 능력이나 판단력이 없기 때문이다.

새폴스키는 청소년기는 물론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각종 행동 이면에 작용하는 요소들을 신경생물학, 뇌과학, 유전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찰했다. 그는 어떤 행동을 친사회적인가, 반사회적인가로 나누지는 않는다. 선하다거나 악하다고도 부르지 않는다. 단지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으로 나누어 볼 뿐이다. 과연 인간이 ‘최악’에서 ‘최선’으로, ‘절망’에서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는 존재인지를 탐구하고 그 작은 가능성들을 살려 보고자 했다.

새폴스키는 이 책 '행동'에서 "익명성은 책임을 희석시키다"며 백인우월주의 단체 KKK단이 모습을 가리는 것 등을 예로 든다. [사진 문학동네]

새폴스키는 이 책 '행동'에서 "익명성은 책임을 희석시키다"며 백인우월주의 단체 KKK단이 모습을 가리는 것 등을 예로 든다. [사진 문학동네]

집필하는 데만 10년 넘게 걸린 이 책은 인간의 폭력, 공격성, 경쟁의 생물학을 살펴보고 있다. 인간이 서로를 해치는 여러 방식과 동시에 협동, 제휴, 화해, 감정이입, 이타성 등에 기반을 둔 그 반대로 행동하는 방식들도 관찰하고 있다. 인간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이라는 양면성을 낱낱이 파헤친다.

방대한 분량의 이 책 전반부는 뇌, 유전자, 호르몬, 유년기, 문화적 환경, 진화, 생태계 등이 우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새폴스키는 우선 누군가의 어떤 행동이 벌어진 그 시점부터 조금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마침내는 우리 종의 오랜 진화 역사가 남긴 유산까지 살펴보는 방식으로 설명을 이어 간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전투기 조종사로 진주만 공습에도 참가했던 아베 겐지(오른쪽)가 당시 미군 생존자 리처드 피스크(왼쪽)와 훗날 친구가 된 모습. 이 책 '행동'의 지은이 새폴스키는 "그 시작은 우리가 알듯이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지만 모든 것을 바꾸기도 하는 사과였다"고 썼다. 겐지는 1980년대 하와이에서 열린 진주만 공습일 추도식에 찾아와 미군 생존자들에게 사과했다. [사진 문학동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전투기 조종사로 진주만 공습에도 참가했던 아베 겐지(오른쪽)가 당시 미군 생존자 리처드 피스크(왼쪽)와 훗날 친구가 된 모습. 이 책 '행동'의 지은이 새폴스키는 "그 시작은 우리가 알듯이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지만 모든 것을 바꾸기도 하는 사과였다"고 썼다. 겐지는 1980년대 하와이에서 열린 진주만 공습일 추도식에 찾아와 미군 생존자들에게 사과했다. [사진 문학동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전투기 조종사로 진주만 공습에도 참가했던 아베 겐지(오른쪽)는 1980년대 하와이에서 열린 진주만 공습일 추도식에 찾아와 미군 생존자들에게 사과했고, 미군 생존자이자 추모관 안내원 리처드 피스크(왼쪽)와는 친구가 됐다. 이 책 '행동'의 지은이 새폴스키는 "그 시작은 우리가 알듯이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지만 모든 것을 바꾸기도 하는 사과였다"고 책에 썼다. [사진 문학동네]베트남전 당시 미군의 민간인 대량학살이 벌어진 미라이 마을에서 아군에게 기관총을 겨냥하며 학살을 멈추게 했던 미군들과 당시 목숨을 구한 어린이가 1998년 미라이 마을에서 다시 만난 모습. 지은이는 미라이 학살이 "베트남전에서 단일 사건으로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일"이라고 전한다. [사진 Susan T. Kummer, 문학동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전투기 조종사로 진주만 공습에도 참가했던 아베 겐지(오른쪽)는 1980년대 하와이에서 열린 진주만 공습일 추도식에 찾아와 미군 생존자들에게 사과했고, 미군 생존자이자 추모관 안내원 리처드 피스크(왼쪽)와는 친구가 됐다. 이 책 '행동'의 지은이 새폴스키는 "그 시작은 우리가 알듯이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지만 모든 것을 바꾸기도 하는 사과였다"고 책에 썼다. [사진 문학동네]베트남전 당시 미군의 민간인 대량학살이 벌어진 미라이 마을에서 아군에게 기관총을 겨냥하며 학살을 멈추게 했던 미군들과 당시 목숨을 구한 어린이가 1998년 미라이 마을에서 다시 만난 모습. 지은이는 미라이 학살이 "베트남전에서 단일 사건으로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일"이라고 전한다. [사진 Susan T. Kummer, 문학동네].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을 부추기는 정서 활동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변연계, 공포와 공격성에서 주된 역할을 맡는 편도체, 보상과 동기부여와 관련 있는 도파민 시스템 등에 대해 흥미롭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공격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은 실제로는 공격성을 ‘발명’해내지는 않는다.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협동심과 아량을 북돋지만, 이들 또한 특정 맥락에서만 이 특징이 강화된다.

후반부에서는 전반부에서 확인한 내용들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인간 행동의 영역들을 살펴본다. 왜 인간은 ‘우리’와 ‘그들’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이방인을 혐오하는 존재가 됐는지, 그리고 우리는 이 한계를 넘어설 희망이 있는지를 파고들었다.

베트남전 당시 미군의 민간인 대량학살이 벌어진 미라이 마을에서 아군에게 기관총을 겨냥하며 학살을 멈추게 했던 미군들과 당시 목숨을 구한 어린이가 1998년 미라이 마을에서 다시 만난 모습. 지은이는 미라이 학살이 "미국으로 하여금 자신은 선한 세력이라는 인식을 마침내 떨져버리게 했던 일"이라며 이를 멈추게 한 세 사람의 행동을 "우리/그들 범주화의 이야기를 한순간에 몽땅 바꿔놓을 수 있는 행동이었다"고 했다. [사진 Susan T. Kummer, 문학동네].

베트남전 당시 미군의 민간인 대량학살이 벌어진 미라이 마을에서 아군에게 기관총을 겨냥하며 학살을 멈추게 했던 미군들과 당시 목숨을 구한 어린이가 1998년 미라이 마을에서 다시 만난 모습. 지은이는 미라이 학살이 "미국으로 하여금 자신은 선한 세력이라는 인식을 마침내 떨져버리게 했던 일"이라며 이를 멈추게 한 세 사람의 행동을 "우리/그들 범주화의 이야기를 한순간에 몽땅 바꿔놓을 수 있는 행동이었다"고 했다. [사진 Susan T. Kummer, 문학동네].

이 순간에도 거의 매일 지구상에서는 폭력과 전쟁이 벌어진다. 우크라이나에서, 이스라엘 가자지구에서 참혹한 전쟁이 진행 중이고 지구촌 곳곳에서 대량살상무기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총선 같은 정치적 이벤트를 앞두고는 우리와 그들 사이에 한 치도 물러나지 않는 첨예한 영역 다툼이 벌어진다. ‘도대체 인간이란 왜 그런 존재인가’가 궁금한 독자들은 『행동』을 천천히 정독해 보면 어느 정도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본성과 행동에 한층 더 정교하게 접근할 수 있다면 세상이 다르게 보일 수도 있다.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