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노련」결성 초읽기 돌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10월부터 은밀히 추진작업이 진행돼왔던 대기업 노동조합 연합회 (대노련)결성이 초읽기에 들어가 노동계에 비상이 걸렸다.
조합원 2천∼2만 명 규모의 국내 대기업 노조들이 중심이 된 대노련이 정식 출범할 경우 지금까지 한국노총과 전노협으로 양분돼 왔던 노동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내 최대 노조인 포항제철을 비롯, 현대자동차·대우조선 등 15개 대기업 노조 대표들은 10월 중순 대전 유성온천에서 모임을 가진 후 지금까지 5차례 만나 대노련의 결성에 합의, 마무리 작업에 바쁘다.
현재의 행보대로라면 대노련은 빠르면 12월중으로, 늦어도 내년 3월까지는 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기업들은 물론 경총 등 사용자 단체들은 벌써부터 대노련이 내년 춘투의 변수로 작용할 것을 우려,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동부와 검찰 등 당국도 대노련의 결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는데 전노협과 마찬가지로 대노련도 불법단체로 간주, 3자 개입으로 문제삼는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어 내년 노·정 관계가 순탄치 못할 염려가 크다.
현재 알려진 대노련 참여 노조는 포항제철을 비롯, ▲현대중공업 ▲대우자동차 ▲대우조선 ▲서울지하철공사 ▲아세아자동차 ▲금호타이어 ▲현대정공 울산공장 ▲현대중전기 울산공장 ▲현대정공 창원공장 ▲(주)통일 ▲동양강철 ▲태평양화학 ▲풍산금속 동래공장 등 15개 노조. 그러나 연말까지는 참여 노조가 70여 개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대노련이 잉태되기 시작한 것은 10월13일부터.
대우조선·현대중공업·한진중공업 등 3개 노조 대표와 전노협 조직국 간부 등이 부산 한진중공업 노조사무실에서 만나 지난 2월 발족한 7개 대기업 노조 비상대책회의를 발전적으로 해체, 대기업 노조간의 연대를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이틀후인 10월15일 대전 회합에 이어 27일과 11월3일 마라톤회합을 갖고 「단일노조의 투쟁은 한계에 이르렀다」 고 판단, 공동 연대에 합의해 대노련 결성을 결정하고 운영규칙을 제정한 후 ▲대우자동차(수도권) ▲대우조선(마·창, 부산, 거제) ▲포항제철(대구·경북) ▲금호타이어(충청·호남) 노조 등을 대노련 지역대표로 뽑았다.
이들은 또 조합원수가 많은 ▲포항제철(조합원 1만8천명) ▲현대중공업(1만7천8백) ▲대우자동차(1만2천5백) ▲대우조선(9천4백) ▲금호타이어(2천7백) 등 5개 노조 위원장을 공동의장으로 선출, 앞으로의 활동과 조직체계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중이다.
대노련이 결성되어 표면에 나설 경우 노동운동 세력의 판도는 물론 노사분규의 양상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노동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대노련의 결성은 쉽지 않을 것" 이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내년 춘투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사용자 단체인 경총도 "대노련의 결성은 쉽지 않을 것이나 일단 결성된 이후에는 가위 「폭발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대노련 가입 노조들이 그 동안 대형 노사분규를 이끌어온 당사자들이어서 이들 대기업 노조들이 하나의 조직을 형성할 경우 그 잠재력은 엄청나리라는 관측인 것이다.
바로 이 같은 잠재력을 바탕으로 대노련은 노총과 전노협을 대신하는 제3의 노동세력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같은 전망에 대해 전노협 측은 약간 시각을 달리하고 있다.
전노협 측은 대노련 참여 노조 중 절반 가량이 전노협에 가입해 있는 데다 대노련 추진 모임에 전노협 측 인사가 참여하고 있는 점을 지적, "대노련을 전노협 노선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운동단체로 규정하는 것은 속단" 이라는 견해다. <정순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