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DJ 장충단 100만 유세 돌풍…놀란 박정희는 유신으로 질주-김대중 육성 회고록〈6〉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대중 육성 회고록 〈6〉

1971년 4월 18일 서울 장충단공원, 김대중(DJ)은 그날의 감동을 평생 잊을 수 없다. 그해 4·27 7대 대통령 선거를 열흘 앞둔 일요일 오후였다. 3선 장기 집권을 노리는 기호 1번 공화당 후보 박정희 대통령에 맞선 기호 2번 김대중 신민당 후보는 대반전을 벼르고 있었다. 나, 김대중은 최대 승부처인 서울에서 장충단공원 유세에 나섰다.

‘10년 세도 썩은 정치 못 참겠다 갈아치자’는 슬로건을 들고나온 나는 바람을 몰고 다녔다. 전국의 유세 현장마다 인파로 뒤덮였고, ‘집념의 젊은 정치인 김대중’에 대한 입소문은 세간의 화젯거리가 됐다. 언론에서도 ‘예상 밖 선전’ ‘백중세’를 전망했다.

나에겐 접전의 판세를 뒤집을 회심의 결정타가 필요했다. 당시 선거운동은 많은 청중을 유세장으로 불러내고, 사자후를 내뿜는 연설이 선거의 기세를 판가름했다. 장충단공원 일대에 펼쳐진 거대한 인파의 물결은 선거의 분수령을 만들기에 제격이었다.

“김대중 후보의 서울 유세가 열린 장충단공원에는 공원이 생긴 이후 최고 인파가 몰려들었다. 인파는 장충단공원 어린이 놀이터 쪽 철책과 사명대사 동상 철책 위에까지 올랐으며, 나무 위에 수십 명이 기어올라 ‘사람으로 꽃 핀 나무’를 만들기도 했다.” 〈중앙일보 1971년 4월 19일자 보도〉

열기는 뜨거웠다. 청중들은 유세장인 장충단공원은 물론 장충체육관 광장, 그 뒤로 신라호텔이 들어서기 이전의 부지, 타워호텔(현 반얀트리) 앞 언덕과 남산순환도로까지 발 디딜 틈 없이 빼곡했다.

DJ “박정희 종신 총통제 막아야”

김대중 신민당 대통령 후보가 1971년 4월 18일 서울 장충단공원이 인산인해를 이룬 가운데 7대 대선 투표일을 열흘 앞두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김대중 신민당 대통령 후보가 1971년 4월 18일 서울 장충단공원이 인산인해를 이룬 가운데 7대 대선 투표일을 열흘 앞두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연단에 올라선 나는 군중을 향해 “이번에 정권 교체를 하지 못하면 우리나라는 영원히 (박정희) 총통제가 되고 말 것이다”라며 기염을 토했다.

“여기 장충단공원의 백만이 넘는 유례가 없을 군중이 보인 것을 보고, 서울 시민의 함성을 보고 정권 교체는, 우리의 승리는 결정이 났다는 것을 여러분 앞에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550만 서울 시민, 승리는 결정이 났습니다. 7월 1일 청와대에서 만납시다.”

군중은 ‘기호 2번 김대중’ ‘대통령 김대중’을 연호하며 호응했다. 감동과 흥분의 도가니였다. 나는 이 돌풍을 끌고 가면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장충단공원의 구름 인파 수는 100만이니 30만이니 갑론을박이 될 정도로 당시 화제였다.

장충단공원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벌인 나의 유세에는 변화를 갈구하는 시민들이 운집했다. 부산 서면의 조선방직 광장에도, 박정희의 지지 기반인 대구의 수성천변에도 내 연설을 들으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나의 바람몰이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었다. 박정희는 선거 이틀 전인 4월 25일 서울 장충단공원 유세로 반격했다. 그는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한 번 더 뽑아 달라’는 정치 연설은 이것이 마지막”이라고 호소했다. ‘마지막 출마’라는 배수진을 친 것이다. 그의 다짐은 10월 유신으로 휴짓조각이 됐지만, 당시에는 그만큼 다급했다는 방증이다.

예비군 폐지 공약 ‘색깔론’ 논란

박정희 대통령이 68년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식에서 대표 예비군에게 소총을 수여하는 장면.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박정희 대통령이 68년 4월 1일 향토예비군 창설식에서 대표 예비군에게 소총을 수여하는 장면.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나는 유세뿐 아니라 공약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소수가 지배하는 반(反)대중적 현상을 일소해서 희망에 찬 대중의 시대를 실현하겠다”는 게 나의 목표이었다. 정치적으로는 ‘국민총화’, 경제적으로는 ‘대중경제’, 사회적인 개혁, 민족 중심의 외교, 정예 국방을 표방했다.

국민총화는 사회를 정치권력의 예속에서 자유화하자는 것이다. 대중경제란 국민경제를 관권의 압력에서 해방하자는 뜻이다. 사회개혁은 상층부의 부패와 사치를 숙정하자는 취지다. ‘민족 외교’는 미국·일본·소련·중공 4대국에 한반도 평화 보장을 요구하자는 구상이다. 정예 국방은 군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고 향토예비군 폐지를 골자로 한다.

시대를 앞서간 참신한 공약에 세상은 놀라면서도 주목했다. 특히 예비군 폐지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했다. 향토예비군은 68년 31명의 무장공비가 청와대 습격을 시도한 ‘1·21사태’를 계기로 창설됐다. 그런데 박정희 정권은 독재 강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고 있었다.

나의 약진에 놀란 집권 세력은 ‘색깔론’을 들먹였다. 정래혁 국방부 장관은 “대한민국을 전복해 한반도를 공산화하겠다고 호언장담하는 김일성을 고무·격려하고 남침을 초래할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공격했다. 여당인 공화당은 “국기를 흔드는 중대한 오류”라고 비난했다. 저들은 나의 향토예비군 폐지론을 트집을 잡고 ‘빨간색’ 낙인을 찍어 두고두고 옭아매려 했다.

“개밥 도토리” vs “푸대접” 지역감정

김대중 전국구 국회의원 후보가 8대 총선 투표를 하루 앞둔 71년 5월 24일 전남 무안에서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한 뒤 서울에 올라와 지원 유세를 벌이는 모습.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김대중 전국구 국회의원 후보가 8대 총선 투표를 하루 앞둔 71년 5월 24일 전남 무안에서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한 뒤 서울에 올라와 지원 유세를 벌이는 모습.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중앙포토]

전세가 팽팽해지면서 지역감정의 망령이 싹트기 시작했다.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 “전라도 사람은 쌀의 뉘(겨가 벗겨지지 않은 벼의 알갱이)다. 쌀에 뉘가 섞이면 밥맛이 없어진다” 등 말들이 공화당 유세장에 심심치 않게 횡행했다. 신민당에서도 “전라도에서 대통령을 내어 푸대접을 면해야 한다”고 반격했다. 지역감정이 선거에 악용된 점은 지금 생각해도 아쉬운 대목이다.

4·27 심판의 결과, 94만여 표 차로 졌다. 선거는 내가 진 게 아니다. 부정 때문에 졌다. 상상할 수 없는 관권을 동원한 공작이 판쳤다. 내가 나에게 찍은 표가 무효 처리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내가 “공무원이 선거 부정을 감행한다면 집권 후에 법에 따라 엄중히 조처할 것이다”라고 경고했지만 허사였다. 하지만 서울과 경기에서 이기는 등 박정희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박정희 정적으로 부상

비록 패배했지만 얻은 게 있었다. 개인적으로 나는 유감없이 싸웠다. 국민이 밀어준 덕택에 당선 일보 직전까지 갔다. 40대의 유능한 지도자라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박정희의 강력한 정적으로 떠오르며 거물 정치인이란 정치적 자산을 갖게 됐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지리멸렬하던 야당의 체질도 개선됐다. “이제 우리도 해 볼 수 있다. 다음에는 꼭 이기자”는 의지를 북돋웠다. 김영삼(YS)·이철승 의원과 함께 신민당을 젊은 정당으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다. 4·27 대선에 이은 5·25 총선에 희망이 보였다.

나는 원래 서울 종로에 출마하려 했다. 대선 후보답게 ‘정치 1번지’에서 흥행을 일으켜 전국으로 확산하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유진산 신민당 당수는 나를 전국구 2번으로 돌려놨다. 지역구보다 전국에 지원 유세를 다니라는 명분이었다. 속내는 내게 야당의 실질적 지도자라는 상징성을 주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평생 장애 안긴 의문의 교통사고

지원 유세 중 죽을 고비를 겪었다. 총선 투표일을 하루 앞둔 5월 24일, 지원 유세를 마치고 목포공항에서 서울로 올라갈 예정이었는데 뚜렷한 이유도 없이 항공편이 취소됐다. 하는 수 없이 광주공항으로 가기 위해 무안의 한 도로로 진입한 순간이었다. 갑자기 큰 트럭이 돌진하더니 우리 차 범퍼를 들이받아 차가 붕 뜨더니 옆의 논두렁으로 곤두박질쳤다.

의문의 교통사고로 인해 고관절이 망가져 다리를 저는 평생의 장애를 얻었다. 사고를 낸 트럭은 공화당 관계자가 운영하던 운수회사의 소유였다. 교통사고를 가장한 암살기도일 가능성이 짙었다. 그러나 수사는 단순 교통사고로 마무리됐다.

우리 정치사에서 정체불명의 정치적 테러 사건이 터지면 실체적 진실은 영원히 묻혀버리곤 했다. 수사는 흐지부지 끌고, 범인은 오리무중이 된다. 내 교통사고도, 훗날 나의 납치사건도 그랬듯이 나를 둘러싼 사건은 수사 당국의 묵살 속에 언제나 미제(未濟)로 끝났다.

유신 체제와 DJ 수난 시대

71년의 대선과 총선은 역사적 의미에서 빛과 그림자를 남겼다. 빛의 측면을 보자면, 나의 대선 돌풍이 총선으로 이어져 야당이 약진했다. 신민당은 204석 중 52석이나 늘어 89석을 차지해 명실상부한 제1 야당으로 부상했다. 정당 득표율로는 공화당 48% 신민당 44%, 4%p의 박빙이었다. 서울에서는 한 곳을 빼고 나머지 18개 선거구에서 모두 승리했다.

그림자의 측면을 보자면, 더 짙은 암흑의 시대로 접어드는 계기가 됐다. 박정희 정권은 선거를 통한 재집권은 쉽지 않음을 절감했다. 집권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위기의식이 발동했다. 영구 집권을 위한 ‘10월 유신’으로 질주하도록 자극한 셈이었다.

“이번에 정권 교체를 하지 못하면 우리나라는 영원히 총통제가 되고 말 것”이라던 나의 장충단공원 예언은 현실이 되고 있었다. 나에겐 망명과 고난의 시간들이 다가오고 있었다.

김대중 육성 회고록(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58)은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 ‘더 중앙 플러스(The JoongAng Plus)(https://www.joongang.co.kr/plus)’의 연재 시리즈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 중앙 플러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7회 〈박정희 유신 체제와 DJ의 망명 투쟁〉이 이어집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