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인 400만이 '끙끙'…단, 무릎 아프다고 다 관절염은 아니다 [나영무 박사의 통증 제로 라이프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이 아프고 걷는 것도 버겁다’, ‘무릎이 두꺼워지고 휘기도 한다’, ‘운동할 때 소리가 나고 무릎 안쪽이 아프다’. 모두 ‘무릎 관절염’의 증상이다.

무릎 관절염은 다른 말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인구 중 약 400만 명이 겪을 정도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이다. 무릎에는 관절을 고정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연골이 있는데, 노화·부상 등으로 관절연골에 문제가 생기면 무릎 관절염이 발생한다. 한 번 발생하면 잘 낫지도 않는다. 치료하기 위해선 운동으로 무릎 근력을 키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론 무릎 통증이 있다고 해서 다 관절염인 건 아니다. ‘슬개건염’과 ‘연골연화증’도 대표적 무릎 질환이다. 둘 다 무릎 앞쪽이 아픈 게 특징이다. 슬개건염은 무릎 뚜껑뼈 밑에 있는 ‘슬개건’이라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단단한 바닥에서 자주 점프를 하거나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하면 힘줄이 미세하게 파열된다. 시간이 지나면 슬개건염으로 발전한다.

연골연화증은 단단해야 할 관절 연골이 닳아버리고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무릎을 꿇거나 쪼그리고 앉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연골연화증이 심해지면 무릎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나영무 박사의 통증 제로 라이프〉 6편에서는 무릎 관절염에 좋은 근력 운동과, 무릎 관절염으로 오인하기 쉬운 무릎 앞쪽 통증 등을 설명한다.

국가대표 주치의 나영무 박사와 함께하는 '통증 제로 라이프'

 통증은 내 몸을 지키라는 신호이자 경고다. 통증이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신체가 병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영상시리즈 〈나영무 박사의 통증 제로 라이프〉는 박지성, 손흥민, 김연아, 박세리 등 여러 국가대표의 주치의로 활동한 재활의학 권위자 나영무 박사와, MBC(제주) 아나운서 출신의 통증 유경험자 김희영 MC가 8회에 걸쳐 통증을 완화하고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운동법을 소개한다.

통증 제로 라이프 ⑦편은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는 골반에 대해 다룬다. 골반 통증의 증상과 골반을 틀어지게 하는 나쁜 자세, 골반에 좋은 운동법 등을 상세히 다룬다. 3월 4일(토) 아침 6시에 공개된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