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셔먼 "러시아 결국 우크라에 질 것"…중국·북한·이란에도 경고

중앙일보

입력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 브루킹스연구소가 주최한 대담에서 “우크라이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전략적 실패를 안겨 줄 것”이라며 러시아의 패전을 주장했다. 셔먼 부장관은 1년째 계속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하는 중국ㆍ북한ㆍ이란에 대해서도 제재를 시사하는 등 경고를 날렸다.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솔레다르 인근 최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 진지를 향해 그라드 다연장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솔레다르 인근 최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 진지를 향해 그라드 다연장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셔먼 부장관은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접근법’을 주제로 열린 이번 대담에서 시종일관 중국을 견제하는 발언을 이어나갔다.

우선 그는 “우크라이나인들은 푸틴에게 전략적인 실패를 안겨줄 것”이라며 “러시아를 지원하는 국가들은 결국 큰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을 겨냥해 “국제사회에서 지위를 높이기 위해 ‘종전을 위한 중재에 나서겠다’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러시아와 ‘무제한 협력 관계’에 몰두해 전쟁을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10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상공에서 목격된 러시아군의 무인기(드론)로 이란제 자폭 드론인 '샤헤드-136'으로 추정됐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10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상공에서 목격된 러시아군의 무인기(드론)로 이란제 자폭 드론인 '샤헤드-136'으로 추정됐다. 로이터=연합뉴스

셔먼 부장관은 ‘샤헤드-136’ 등 공격용 무인기(드론)를 꾸준히 러시아에 제공하는 이란은 물론 북한의 대러시아 지원도 우려했다. 그는 “최근 북한과 관련해 (러시아의 민간 군사조직인) 바그너그룹을 제재했다”며 이같은 행위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미 백악관은 지난달 20일 북한과 바그너그룹 간 무기 거래 정황이 담긴 위성 촬영 사진을 공개했다. 이어 미 재무부는 지난달 26일 바그너그룹을 ‘초국가적 범죄조직(TCO)’으로 특정하고 바그너그룹과 관련 인물ㆍ회사 등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오른쪽),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주미한국대사관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오른쪽),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주미한국대사관

셔먼 부장관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동맹과 협력도 강조했다. 그는 특히 지난 13일 워싱턴에서 열린 한ㆍ미ㆍ일 외교차관 협의회 논의 내용을 거론하며 “국제 규범을 훼손하려는 중국의 노력에 대응해 국제 규범에 대한 우리의 지지를 거듭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규범에 입각한 국제질서를 재편하려는 의도와 수단을 가진 유일한 경쟁국”이라며 “정찰 풍선 사태는 이런 현실을 보여주는 가장 최근 사례”라고 말했다.

정찰 풍선 사태로 중단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방중과 관련해선 “여건이 적절하다고 판단될 때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블링컨 장관이 독일 뮌헨안보회의(17~19일) 참석을 계기로 중국의 외교 톱인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과 회동할 것이란 관련 보도에 대해선 “발표할 내용이 없다”며 답변을 피했다.

“한국 내 이란 석유대금 동결에 관여”  

한편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ㆍ러에 비해 북한 대응이 뒷순위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이들 모두는 중요한 문제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은 한가로운 이야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대만해협에서 중국의 현상 변경 시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등은 모두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규범에 기초한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고 덧붙였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그간 이란이 지속해서 해결을 요구해온 대한국 석유 판매 대금 동결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이란이 핵 위협을 해소할 때까지 (동맹국이) 제재를 유지하도록 관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 내 동결 자금은 70억 달러(약 9조원)로 이란의 해외 동결 자산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난해 5월 26일(현지시간) 그리스 에비아 섬 인근 해역에서 이란 유조선이 라이베리아 국적 유조선에 석유를 옮겨 싣고 있다. 이란은 서방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이같은 불법 환적을 계속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5월 26일(현지시간) 그리스 에비아 섬 인근 해역에서 이란 유조선이 라이베리아 국적 유조선에 석유를 옮겨 싣고 있다. 이란은 서방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이같은 불법 환적을 계속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앞서 이란 외무부는 지난 9일 “한국 정부의 동결 자금 반환 약속 이행을 기다리고 있다”며 “동결 자금 해제는 양국의 다른 현안과 무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했을 당시 논란이 됐던 이란 관련 발언을 거론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이란 정부는 한국 대사를 초치하는 등 강력히 항의한 바 있다.

또 프라이스 대변인은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오염수 문제와 관련해선 ‘과학적인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취지로 설명하며 “국제사회에 대한 일본의 투명성과 긴밀한 공조를 환영한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