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원전사고 후유증 심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4년이 지난 지금도 막대한 후유증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명의 피해는 물론 경제적·사회적 충격 또한 예상을 초월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7월 사고현지를 다녀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이재기 보건물리실장이 최근 열린「원자력 안전성 증진을 위한 토론회」에서 밝혔다. 이 실장은『사고당시 진압·수습에 투입됐던 요원 중 5백여 명이 급성 방사선피폭증세를 보였고 이들 중 현재 29명이 사망했다』며『이는 암·백혈병·기형아출산 등 방사선피폭의 만성영향은 제외된 것』이라고 밝혔다.
사고지역 역시 대단히 광범위해 발전소가 위치한 우크라이나공화국은 물론 인근 백러시아공화국과 러시아공화국에서도 사고현지 못지 않은 많은 피해자가 속속 생겨나고 있는데, 이는 바람 등에 의해 방사능물질이 대거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들 물질 중 일부는 경미하지만 우리나라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
이같이 막대한 피해는 사고가 난 해인 86년 말까지만 방사능검진을 받은 사람이 70여만 명에 이른다는 소련당국의 공식보고에서도 확인됐다.
그러나 예상할 수 있는 이같은 인명상의 피해 외에도『사고주민의 이주, 후속치료 등에 드는 엄청난 경비와 사회심리학적 충격도 심각한 문제』라고 이 실장은 말했다.
즉 사고자체에 대한 공포와 이주 등으로 생활환경이 혼란해지고 실생활이 변화함에 따라 사고지역의 주민들이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는 것이다. 더더욱 심각한 문제는『주민들이 일상의 모든 나쁜 점을 방사선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이런 인식이 쉽사리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고 이 실장은 덧붙였다. <김창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