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키니 환초 핵실험 20년 뒤에도…거북이 등딱지에 남은 흔적
1952년 태평양 에네웨탁 환초에서 실시한 첫 수소폭탄 시험 당시에 피어오른 버섯구름. 로이터=연합뉴스 1940~50년대 미국 네바다 사막이나 태평양 산호초 섬에서 실시했던 핵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원자탄 개발한 오펜하이머 “핵은 위험” 인류에 경종
━ 새로운 앞날 만들어가는 자기 성찰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원자탄 개발의 책임자였던 과학자 오펜하이머의 일생을 다룬 영화가 요즘 화제다. 그는 1945년 원자탄
-
"북핵 맞서 한ㆍ일 더 뭉쳐야"…전문가‧언론인 50명 전주에 모였다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가 28일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에서 전북대 통일교육사업단, 일본 히로시마시립대 히로시마평화연구소와 공동으로 '2023 한ㆍ일 지방 포럼'을 개최했다. 북한
-
[중앙시평] “역사상 가장 큰 방사능 오염원은 핵실험 낙진”
김명자 카이스트 이사장·전 환경부장관 우주산업이 ‘우주경제’를 창출한다는 시대, ‘평평한 지구학회(Flat Earth Society)’가 활동한다. 2018년 미국 국제학회에서는
-
'제2 체르노빌' 공포…우크라 "러, 자포리자 원전에 폭발물 설치"
유럽 최대 원자력발전소인 우크라이나의 자포리자 원전을 둘러싸고 긴장이 감돌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서로 상대방이 원전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자포
-
일개 용병이 본토 휘저었다…"종이호랑이" 실체 드러난 군사대국
바그너 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의 반란을 통해 러시아군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무모해 보였던 프리고진의 반란에 수도 모스크바까지 위협받으면서 ‘종이호랑이
-
우크라 "대반격 첫 성과"…도네츠크 러 점령지에 깃발 꽂았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한 대공세를 시작한 지 수일 만에 동남부의 러시아 점령지 4곳을 탈환했다고 우크라이나군 당국이 12일(현지시간) 밝혔다. BBC방송·뉴욕타임스(N
-
"바흐무트 1.4㎞ 진격, 사상자 발생"…젤렌스키 '대반격' 공식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45)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군에 대한 반격과 방어 작전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그간 대반격 개시 여부에 대해 함구하던 우
-
[이번 주 리뷰]천안함 자폭논란ㆍ자진출두ㆍ도발적 언행 이어진 한주(5~10일)
6월 둘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민간단체 보조금 부정사용 #우크라이나 전쟁 #PGAㆍLIV 합명 #한국,UN 비상임이사국 선출 #현충일 #이래경,천안함 자폭 논란 사퇴 #KBS
-
[아이랑GO] 역사의 아픔과 교훈을 되새겨보는 여행 ‘다크 투어리즘’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이번
-
9일 오전 6시 광화문 광장서 U-20 월드컵 이탈리아와 4강전 거리응원
2023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이탈리아와 4강전에 맞춰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길거리 응원이 펼쳐진다. 붉은 악마와 시민들이 지난해 12월 6일
-
“우크라 댐 폭파로 마을 100곳 물바다…체르노빌 이후 최악 환경 재앙”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노바 카호우카댐 폭파로 인근 마을이 물바다가 돼 구조대원이 주민들의 가재도구를 옮기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6일(현지시간) 발생한 우
-
'우크라 물폭탄' 300마리 떼죽음…이 동물만 살아남았다
러시아 점령지인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州) 카호우카 댐 폭파로 동물원이 수몰되는 등 생태학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피해 규모를 가늠하기도 어려운 상황인 가운데,
-
100개 마을 물에 잠겼다…'최악 댐 폭파' 우크라 필사의 탈출
6일(현지시간) 발생한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노바 카호우카댐 폭파로 인근 마을이 물바다가 되면서 보트를 이용한 필사의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농작물 생산 차질이
-
[노트북을 열며] 히로시마와 후쿠시마, 일본이 짊어진 ‘양면의 유산’
강혜란 국제부장 히바쿠샤(hibakusha·被爆者). 영어로도 일본어 발음 그대로 쓰는 이 단어는 원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피폭 생존자들을 뜻했다. 더 이상 의미가 확장되지 않
-
美교수 경고…"日원전 오염수 속 삼중수소, 체내 들어오면 위험"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현재 1000개가 넘는 저장 탱크에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삼중수소(H-3)에서 나오는 방사선 에너지가 다른 방사성 핵종에 비해
-
마지막 원전 멈춘 독일…에너지 위기에 결국 석탄발전 돌린다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인 독일이 15일(현지시간) 마지막 원전 3기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 시대를 예고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친(親)원
-
우크라 "차이콥스키도 듣지 말자" 러시아 문화도 증오
미국 시카고의 우크라이나현대미술관(UIMA)은 지난해 12월 17일부터 이달 17일까지 '전쟁의 아이들'이라는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모두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이 그렸다. UIM
-
우크라 공격에 러 흑해함대 사령관 사망…580일차 항전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6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9월 26일 침공 58
-
"우리를 짐승처럼 대했다"…핏빛 '침공의 길' 새겨진 원한 [우크라이나 르포]
■ 해 넘긴 전쟁의 참상…다시 우크라이나를 가다 「 김홍범 기자 ‘신냉전’의 짙은 그림자를 드리운 21세기 세계사의 축소판. 유럽 대륙의 데탕트를 깨뜨리고 만 러시아-우크라이나
-
[숙면에 투자 ‘슬리포노믹스’ 급성장] “잠 못자면 치매·우울증 위험…선진국 밤은 쥐죽은 듯 고요”
━ SPECIAL REPORT 이헌정 한국수면의학회 이사장 1986년 체르노빌 원전 폭발 사고는 교대 근무자의 수면 부족으로 인한 연이은 판단 착오와 기계 조작 실수가
-
‘해바라기’서 ‘체르노빌’까지, 우크라 비극을 예견하다
━ 오동진의 시네마 역사 올해 6월 27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산업도시 크레멘 추크시의 쇼핑몰. 이날의 폭격으로 민간인 수십 명이 숨졌
-
필리핀 간 美해리스…'원전 건설' 선물하며 "방위 약속 지킨다"
필리핀을 방문 중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21일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만나 회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행정부 최고위 인사로는 5년만에 필리핀을 방문
-
핵버튼 쥔 푸틴…"방사능 해독약 1억어치, 러 긴급구매"
크렘링궁이 아이오딘 알약의 대량 구매를 긴급 결정했다고 우크라이나 매체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가 아이오딘(요오드) 정제의 대량 구매를 긴급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