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王자, 손 안 씻었나"… 尹측 "손가락 위주로 씻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TV토론회 당시 손바닥 한가운데에 '왕(王)'자를 그려놓은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 세 차례 TV토론회에서 임금을 뜻하는 한자 '왕'자가 그려진 윤 전 총장의 손바닥을 캡처한 사진이 나돌았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TV토론회 당시 손바닥 한가운데에 '왕(王)'자를 그려놓은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 세 차례 TV토론회에서 임금을 뜻하는 한자 '왕'자가 그려진 윤 전 총장의 손바닥을 캡처한 사진이 나돌았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주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TV토론에 참여했을 때 손바닥에 ‘임금 왕(王)’자가 그려진 것을 두고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윤 전 총장 측이 거듭 해명에 나섰다.

윤 전 총장 캠프 대변인을 맡은 김용남 전 의원은 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왕’자가 들어간 라면을 먹지 않을 것이고, 배에도 복근 ‘왕’자를 안 새기겠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 관련 王자 논란은 지난 1일 국민의힘 5차 TV토론이 끝난 다음 날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퍼졌다. 윤 전 총장의 손바닥에 王자가 그려져 있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되면서다.

윤 전 총장 측은 “같은 아파트에 사는 동네 할머니들이 토론회 갈 때 몇 차례 힘 받으라고 손바닥에 적어준 것”이라고 해명했고, 윤 전 총장도 “지지자의 토론 잘하라는 응원 메시지”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은 인터뷰에서 “주변에 사시는 할머니들께서 기운 내라고 적어준 걸 선거에 나온 후보가 ‘이런 거 안 하겠습니다’라고 현장에서 거부하긴 상당히 어렵다”며 “물건도, 먹을 것도 많이 주신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복수의 여러 사람이 동일하게 매직을 갖고 다니면서 동일하게 王자를 적어줬다는 게 우연의 일치일 수 있는 것인가”라고 묻자, 김 전 의원은 “매번 그런 건 아니다. 지금 적어도 1차·2차 토론회 때는 王자가 없었던 게 확인된다”며 “선거를 치러보면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손바닥이 아니라 얼굴이라도 내줘야 될 판”이라고 답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주술’ 지적에 대해 김 전 의원은 “그런 의미로 적었다면 까만 매직으로 안 쓸 것”이라며 “단순 해프닝 아닌가 싶다”고 선을 그었다.

진행자가 “이것저것 다 떠나서 윤 전 총장은 손을 안 씻는가. (씻으면) 웬만한 거 지워진다”라고 말하자, 김 전 의원은 “주로 손가락 위주로 씻은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3일 내내 이렇게 각종 언론에서 계속 다뤄야 될 사안인지 의문”이라며 “해프닝인데 너무 완전히 ‘뭐 한 건 잡았다’는 식으로 계속된다”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