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10% 절하땐 영업이익률 1.3%P 상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무역협회 보고서 “업종별로 차이
석탄·석유·목재 등 원화절하 피해”

원화가치 절하(원화 약세)가 국내 제조업 수익성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주지만, 업종별로는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원화 환율 변동이 우리 경제 및 제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원화가치 절상 기간(2010~2014년)에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2.5%포인트(P) 하락했지만, 원화 절하 기간(2014~2018년)에는 3.1%P 상승했다.

2019년 산업연관표를 통한 분석에서도 원화가치 10% 절하로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1.3%포인트 상승했다.  원화가치가 10% 떨어지면 수출이 늘면서 영업이익률이 3.4% 증가했지만, 수입 원재료비도 상승해 영업이익률이 2.1%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업종별로는 전기장비·운송장비, 기계·장비, 컴퓨터·전기 및 광학기기는 원화절하로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수출단가 인하가 어려워 이를 통한 이익까지 볼 수 있는 산업으로 분류됐다.

반면 석탄 및 석유, 목재·종이, 1차 금속은 원화 절하로 영업이익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수출단가 인하로 피해가 늘 수 있어 기업 차원에서 환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물가도 원화가치 변동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원화가치가 10% 떨어질 때 생산자물가는 평균 2.5% 상승하고, 제조업에 한정하는 경우 3.4%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관표의 투입·산출 구조상 환율 변동에 노출되는 부분인 ‘순수출 익스포져’(총 산출액에서의 수출 비중에서 수입 중간재 비중을 뺀 것)는 제조업의 경우 2016년 14.6%에서 2019년 13.0%로 꾸준히 하락했다. 우리 경제가 환율 변동의 영향을 이전보다 적게 받는다는 의미다.

무역협회 강내영 수석연구원은 “최근 원화가 달러화, 유로화, 위안화 등 주요 통화에 비해 빠르게 절하되고 있어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면서 “제조업 중 수출 비중이 높고 원자재 수입 비중이 작으며, 환율 변동의 대응력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