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성명서 '대만 해협' 꺼내는 G7···본격 中 압박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서 각국 정상들이 중국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모았다고 1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중국의 위협이 명확하게 언급된 것은 지난 2013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집권한 이후 처음이다.

홍콩, 신장 인권 문제 등 중국 민감한 문제 언급 #중국 노골적으로 겨냥한 건 시진핑 집권 이후 처음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두번째 줄 왼쪽부터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세번째 줄 왼쪽부터 UN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이탈리아 마리오 드라기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두번째 줄 왼쪽부터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세번째 줄 왼쪽부터 UN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이탈리아 마리오 드라기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뉴시스

이날 로이터 통신이 확보한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의 막바지 수정본에는 신장‧홍콩지역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만해협 평화 문제, 불공정 무역 관행 등 중국이 민감해하는 사안들이 대거 포함됐다.

로이터는 “공동성명 최종 발표를 앞둔 막판 수정본에는 중국이 신장 지역 인권을 존중하고 홍콩에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허용하라고 강조하는 내용이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대만 해협 문제에 대해서도 “정상들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상황에 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현재 상태를 바꾸고 긴장을 키우는 어떠한 일방적 시도도 강하게 반대한다고 했다”며 “평화와 안정성의 중요성이 강조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일본 교도통신은 “G7 공동성명에 대만 해협 관련 내용이 들어가는 것은 처음”이라고 일본 외무성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해선 “정상들이 공정하고 투명한 경제 시스템을 훼손하는 중국의 비시장 정책과 관행에 집단 대응하기 위해 계속 상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로이터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유출설이 제기된 가운데 “G7 정상들은 투명하고, 과학에 기반을 두며 WHO가 소집한 2단계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요구한다고 입을 모았다”며 “정상들은 전문가들이 보고서에서 권고한 대로 중국에서의 조사도 포함해서 언급했다”고 했다.

이처럼 중국을 직접 겨냥한 공동성명은 이례적이다.

G7 정상회의는 지난 2015년, 2016년, 2018년 공동성명에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의 상황’ 등의 우회적인 표현을 쓴 적은 있지만, 당시에도 중국을 직접 적시하진 않았다. 2017년과 2019년 공동성명에는 이 같은 간접적 표현도 담기지 않았다. 2020년은 코로나19 유행으로 G7 정상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다만 로이터는 공동성명에서 정상들은 “중국과 공통된 과제에서 공동의 이익이 있다면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김홍범 기자 kim.hongbu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