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소비충격에도, 고소득층은 자동차·가전 더 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가계 소비 감소는 중위소득 계층에서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일상적인 소비가 어려운 상황에서 내구재 소비는 늘었는데 부자들은 자동차를, 중산층 이상은 가구·가전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은 11일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자료: KDI

자료: KDI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소비지출은 2.8% 줄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만 2.8% 늘고, 나머지 분위에선 모두 감소했다. 증감률로 보면 중간층인 3분위가 -6.8%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시장소득이 줄어든 데다, 정부의 코로나19 선별 지원 대상에서도 배제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 품목별로 보면 '준내구재 및 대면 서비스'에 대한 소비는 모든 계층에서 줄어들며 12.2% 감소했다. 대신 자동차ㆍ가전ㆍ가구 같은 내구재 소비는 16.4% 증가했다.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에서 19.6%나 지출을 늘린 결과다.

특히 5분위는 내구재 중 '자동차 등 운송기구' 관련 지출을 27.4%나 늘렸는데, 이는 다른 계층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양상이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쇼핑과 해외여행 등이 어려워졌고, 그만큼 소비 여력이 생기자 자동차처럼 비싼 품목에 대해 지갑을 열었다는 해석이다. '가구·가전'에 대한 소비는 3분위가 3.2%, 4분위기 5.5%, 5분위가 6.5%씩 고루 늘렸다.

전반적인 소비 행태는 과거의 경제 위기와 다르게 나타났다.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는 대면 소비와 비대면 소비가 비슷하게 줄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코로나19로 대면소비가 8.4% 감소했지만, 비대면소비가 4.3% 늘어나면서 총소비 감소 폭을 일정 부분 상쇄했다.

자료: KDI

자료: KDI

통상의 경제위기에서 가계는 내구재 구입을 미루는 등 불필요한 지출을 줄인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지출 총량을 줄이기보다 대면소비를 비대면소비로 바꾸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의미다. 조덕상 KDI 경제전망실 전망 총괄은 “상대적으로 소비 여력이 큰 고소득 가구를 중심으로 자동차 등 비대면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KDI는 정부가 완화적 거시 경제 정책을 이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코로나19 집단 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지 가계 소비는 계속 부진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조 총괄은 “중간 소득계층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충격이 크게 나타난 것에서 보듯 경제 주체별 소득수준과 함께 소득 충격의 규모도 함께 고려해 정부지원의 대상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