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예약 밀렸는데, 보조금 바닥날라…아이오닉5·EV6 빨간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5(왼쪽)와 기아 전기차 EV6. [연합뉴스]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5(왼쪽)와 기아 전기차 EV6.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가 19일부터 정식 계약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틀 뒤인 21일부터 지방자치단체에 보조금을 신청하면 된다. 이로써 지난달 말 아이오닉5를 사전예약한 3만여 명의 소비자는 드디어 현대차그룹의 첫 번째 전용 전기차를 운전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 아이오닉5. [사진 현대차]

현대차 아이오닉5. [사진 현대차]

하지만 전기차를 받으려면 ‘보조금’이라는 산을 넘어야 한다. 전기차 보조금은 지자체에 접수된 순서대로 배정하기 때문에 뒷순위로 밀리면 그만큼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 게다가 아이오닉5는 최근 전동 모터 생산 차질로 한 달 목표 생산 대수가 기존의 3분의 1로 줄어들었다. 현대차가 모터 수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일부 소비자는 올해 차를 못 받을 수 있다. 아이오닉5의 정부 보조금은 1200만~1900만원(국고·지자체 보조금 합계)으로 차량값의 4분의 1에 달한다.

8월부터 인도될 기아의 첫 번째 전용 전기차 EV6를 사전 예약한 고객은 상황이 더 좋지 않다. EV6 사전 예약자는 2만5000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또 있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 전기 승용차에 책정된 보조금이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환경부는 2021년 전기 승용차 보급 목표를 7만5000대로 잡고, 이에 대한 국고 보조금을 책정했다. 지난해 등록 대수(3만1000여대)의 배가 넘는 수치다. 하지만 국고 보조금과 함께 지급해야 할 각 지자체의 예산은 부족한 형편이다. 지금까지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가 올해 편성한 예산은 약 4만5000대분으로 환경부 목표와 3만대가량 차이 난다.

기아 EV6. [사진 기아]

기아 EV6. [사진 기아]

환경부는 추경을 통해 추가로 보조금을 마련할 계획이지만, 3만대분의 예산을 얻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전기차 보조금으로 준비된 예산은 5067대”라며 “환경부가 추경을 추진하더라도 서울시 보조금은 그에 맞춰 따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서울시는 전기차 5166대에 보조금을 지급했다.

지난 1분기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선 전기차 보조금이 빠르게 소진됐다. 이 기간 서울은 올해 배정된 물량의 80%인 4053대가 접수됐다. 이 중 1100여대가 등록을 마쳐 보조금을 받았다.

테슬라 모델 3. [사진 테슬라]

테슬라 모델 3. [사진 테슬라]

제조사별로 보면 테슬라가 압도적으로 많다. 서울시와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이 기간 테슬라 차량은 741대가 등록됐다. 전체 등록 대수의 70%에 해당한다. 또 같은 기간 부산시에 등록된 전기차 700여 대 중 테슬라 차량은 531대로 4분의 3을 차지한다.

테슬라 모델별 판매 비중으로 치면 보급형 모델 3가 99%를 차지했다. 지난 2월 테슬라는 지난해 6479만원에 팔던 모델3의 가격을 400만원 내린 5999만원으로 책정했다. 6000만원 이상 전기차는 보조금을 절반만 주는 규정을 피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는 올해 한국 시장에서 약 2만대가 공급될 것으로 예측했다”며 “테슬라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어 향후 출시할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판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기아는 정부와 지자체에 전기차 보조금 지급 방식을 ‘선착순’이 아닌 ‘분기 쿼터제’를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분기(3개월 단위)별로 한도를 정해 나눠 지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가뜩이나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일부 운전자를 위한 특혜”라는 시각이 팽배한 가운데, 현대차·기아를 위한 특혜 논란으로 번질 수 있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자동차학)는 “전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해 생산 차질을 빚고 있어 테슬라도 2분기 공급 물량을 장담할 수 없다”며 “누가 상품성 좋은 차를 적기에 내놓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humanest@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