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시·일용직 -80만명, 중소기업 -110만명…文 "일자리 양극화 심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고용 약자’에게 더 가혹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쇼크가 임시직·중소기업·여성 등에게 더 큰 타격을 준 것으로 나타나서다.

16일 통계청·중소기업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달 임시근로자는 1년 전보다 56만3000명(12.7%) 감소했다. 감소 규모와 감소율에서 2000년대 들어 최대다. 임시근로자 수는 추세적으로 줄고 있지만 이번에는 최근 10년 평균의 10배를 넘을 정도로 낙폭이 유독 크다.

지난달 취업자 수 근로형태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달 취업자 수 근로형태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일용근로자도 지난달 113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23만2000명(17%)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10년 이후 가장 많이 감소했다. 임시근로자는 고용 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경우, 일용근로자는 1개월 미만인 근로자를 뜻한다.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가 3만6000명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고용 충격은 임시·일용근로자에게 집중된 셈이다. ‘고용 양극화’다.

이는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의 휴·폐업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이들을 많이 고용하는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에서 일자리가 많이 줄었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외환위기 때는 대기업·제조업에서의 실직이 중소기업ㆍ서비스업으로 파급되면서 거의 모든 계층·업종이 타격을 입었다”며 “반면 코로나19는 대면접촉과 이동량의 급격한 감소로 서비스업에 즉각적인 타격이 가해졌고 이것이 임시·일용근로자를 고용 시장 밖으로 내몰았다”고 분석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고용 양극화도 심화하고 있다. 지난달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는 2308만2000명으로 110만4000명 줄었다. 11개월 연속 감소세로, 코로나19가 유행이 심해지면 많아졌다가, 잠잠해지면 적어지는 현상이 반복됐다.

반면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는 지난달 273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되레 12만3000명이 늘었다. 대기업 취업자는 증가 폭이 예년보다 줄긴 했지만, 증가세는 이어가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여력이 있는 대기업은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그간 인건비 상승과 매출 감소로 경영난에 시달린 중소기업들은 고용 인원을 줄이는 식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취업자 수 성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달 취업자 수 성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여성과 청년층 충격도 두드러졌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5.2%(59만7000명) 감소해 남성(-2.5%·-38만5000명)보다 많이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일자리 감소율(-6.8%·-25만5000명)이 가장 컸다.

청와대도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고용 상황을 언급하면서 “더욱 아프게 느껴지는 것은 업종별·계층별 양극화가 심화된 것이다. 일자리 양극화는 곧바로 소득양극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달 취업자 수 연령대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달 취업자 수 연령대별 증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하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고용지표는 경기에 후행하는 특성이 있다. 기업들도 매출이 회복된다고 해서 바로 채용에 나서진 않는다. 코로나19가 진정되고 일자리 여건이 제자리를 찾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얘기다.

특히 고용 취약계층이 많이 일하고 있는 서비스업의 회복 속도는 제조업보다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손실이 누적되고 도산하는 곳이 늘고 있어, 고용 격차는 당분간 유지될 것 같다”라며 “디지털 산업구조 전환이 빨라지고, 대면 서비스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행태 자체가 바뀌고 있는 점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용 상황은 점차 나아지겠지만, 근본적인 추세의 반전은 쉽지 않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불명예 기록 쏟아낸 1월 고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불명예 기록 쏟아낸 1월 고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