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신정변 ‘3일천하’ 그치자 몸 던진 기생 명월…옥천 청풍정 아시나요

중앙일보

입력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 대청호 변에 있는 청풍정과 명월암. [사진 옥천군]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 대청호 변에 있는 청풍정과 명월암. [사진 옥천군]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 마을의 청풍정(淸風亭)과 명월암(明月岩)이 기생 명월의 애달픈 사연으로 주목받고 있다.

개화사상가 김옥균과 명월 사랑 터로 주목

 대청호 변에 위치한 옥천 청풍정은 백토산(171m) 아래에 있는 정자다. 조선 후기에 참봉 김종경이 세웠다. 1900년께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80년 대청댐이 준공되면서 수몰됐다. 현재의 정자는 1996년 옥천군이 이전 복원했다. 수몰 이전 청풍정은 금강물이 굽이쳐 흐르다 절벽에 부딪혀 소(沼)를 이루고, 버드나무가 4㎞ 넘게 뻗어 있는 절경이었다고 한다. 청풍정이 바라보고 있는 백토산 일출도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명월암은 청풍정을 등에 지고 좌측으로 돌아볼 수 있는 강가 바위다. 수직으로 깎아지른 바위에 ‘明月岩’이라는 한자가 선명하게 새겨 있다. 이 바위 주인공이 조선 시대 기생 명월이다. 명월은 근대화 시기 개화 사상가였던 김옥균(1851~1894)과 애틋한 사랑을 나누다 죽음으로 진심을 전한 여인으로 전해 온다.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 청풍정에서 바라본 대청호 풍경. [사진 옥천군]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석호리 청풍정에서 바라본 대청호 풍경. [사진 옥천군]

 갑신정변(1884)이 3일천하로 끝나자 청풍정으로 내려와 세월을 보내던 김옥균이 자신 때문에 장부의 큰 뜻을 펼치지 못한다 생각하고 정자 옆 바위에서 몸을 던졌다 한다. 김옥균은 자신을 위해 희생한 명월을 잊지 못하고 그 바위에 명월암(明月岩)이란 글자를 크게 새겼다.

 청풍정 가는 길은 정지용 생가에서 4월 벚꽃 길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한 옛 37번 국도를 따라 4㎞ 정도 달리면 국원보건진료소가 나온다. 이곳에서 이정표를 따라 2㎞ 더 가면 김옥균의 이루지 못한 꿈이 스며있는 청풍정과 명월의 애틋한 마음을 품고 있는 기암과 마주할 수 있다.

 석호리 마을 방한석 이장은 “청풍정과 명월암 그리고 그 앞 백토산을 두고 석호리 명품3경이라 부르고 있다” 며 “대청호에 물안개가 차올라오면 청풍정은 한 폭의 수채화가 된다”고 말했다.

옥천=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